|
예수가 못박힌 예수살렘의 한 성당에서 눈물을 흘리던 마리아 수녀를 위로하던 진명 스님도 함께 눈물을 흘리고 말았다.
|
함께 울고 함께 웃고 종교의 벽 넘어서니 삶의 성지 거기 있네
불교와 가톨릭, 개신교, 원불교 등 4개 종교 여성 수도자들이 19일 간 세계성지순례를 마치고 23일 귀국했다. 지난 5일 원불교의 발상지인 전남 영광을 출발해 인도와 영국, 이스라엘, 이탈리아를 도는 장정이었다. 순례엔 원불교 교무 6명, 불교 비구니 스님 5명, 가톨릭 수녀 3명, 성공회 수녀 2명이 함께 했다. 불교, 개신교, 가톨릭, 원불교 등 국내 4대 종교의 여성수도자들이 함께 한 것이다. 오랫동안 꿈만 꿔오던 순례가 실현된 기쁨을 하늘은 서설로 축복해주었다. 원불교를 창시한 소태산 박중빈 대종사가 태어나 깨달음을 얻고 교화를 시작한 전남 영광에 도착하자 영산성지 출장소장인 청타원 이경옥 교무가 대형 연차로 삼소회원들을 장도를 축복해 주었다. 가장 정교한 정수기와 같은 연 줄기처럼 전쟁과 테러의 활화산인 종교간 갈등의 기운을 정화하라는 말 없는 기도였다. 첫밤 세상을 덮은 하얀 눈 사이로 원불교 익산 중앙총부에 간 삼소회원들에게 좌산 이광정 종법사는 “인류 역사의 한 판 기운을 바꾸는 계기가 되라”고 서원했다.
|
프란체스코 성당에서 포옹한 선재 스님과 마리아 수녀.
|
불교·가톨릭·개신교·원불교
여성 수도자 16명
인도·영국‥이스라엘·이탈리아 장정
다른 습성 다른 종교
갈등도 번졌지만
교의 걷어내자 공감…
‘삼소’ 우리 안에 있었다 6일 인도로 향한 이들은 서로 다른 종교인들이 한 데 어우러져 먹고 자는 순례에 대해 설??? 흥분했다. 녹야원에서 함께 탑돌이를 하고, 평화명상을 하는 이들을 보고, 외국 관람객들의 탄성이 터졌다. 최근 무슬림들의 시위가 있던 프랑스에서 온 가톨릭신자 제로레와 캐시는 “다른 종교인들이 함께 앉아 있는 모습 자체에서 깊은 고요가 느껴진다”고 했다. 그러나 종교인들이 그리는 이상적인 종교와 달리 순례는 현실이었다. 설렘은 머지 않아 너무나 다른 신념과 습관의 벽 앞에서 갈등으로 바뀌었다. 기원문에서부터 ‘유일신’을 믿는 가톨릭은 하느님이 다른 교조와 함께 열거하는 것을 거부했다. 붓다가 깨달음을 얻은 녹야원에서 열린 평화기도회에서 수녀들이 절을 하지 않은데 대해 스님들이 냉가슴을 앓기 시작했다.
|
예루살렘에서 한 가정집에서 마리아수녀의 율동을 순례단이 따라하고 있다.
|
드디어 영국 캔터베리대성당에서 성공회에서 배포해 스님이 읽게 한 기도문에 “세상을 창조하는 하느님…”이란 문구가 들어가고, 가톨릭이 교황에게 드리기 위해 참여자들의 사인을 받은 선물에 “당신의 어린 딸들이…”라고 써놓은 것이 확인돼 한바탕 소동이 일기도 했다. 자기 ‘종교’를 내세우고, 다른 ‘종교’를 거부하는 순간 갈등과 번민이 성소를 가로막았다. 자기 종교만을 앞세울 때 다른 종교인에겐 성지마저도 결코 넘어설 수 없는 성벽에 불과했다. 하지만 이것만이 전부는 아니었다. 종교인의 관념 속엔 ‘종교’가 깊이 자리하고 있었지만, 19일의 긴 여정은 삶이었다. 이들은 식탁에서, 버스와 기차, 비행기 안에서, 잠자리에서 이웃과 친구와 언니와 동생으로 만났다. 삶 속에서 이들은 다른 종교인이 아니라 ‘여성’과 ‘수도자’ 또는 ‘같은 사람’으로 어울렸다. 삶 속엔 눈물과 웃음이 배어났다. 함께 흘린 눈물과 함께 웃는 웃음이야말로 그들이 순례에서 만나려던 성소였다. 인도 부다가야 옆 불가촉천민촌에서 한국인 불자들이 운영하는 수자타아카데미에서 우물물마저 제대로 마시지 못하는 천민들을 위해 원불교 정인신 교무는 우물을 팔 돈을 보시했고, 마르 코르 수녀는 그들의 비참한 삶에 내내 눈물을 거두지 못했다.
|
런던의 이슬람중앙성원에 들어가기 전 여성이면 누구나 써야할 히잡을 서로 씌여준 수도자들.
|
또 예수 그리스도의 흔적이 깃든 이스라엘 예루살렘의 올리브동산에선 십자가에 못 박히기 전날 마지막 기도를 올리던 예수의 몸부림이 가슴에 와닿는듯 눈물 흘리는 마리아 수녀를 진명 스님이 껴안으며 함께 눈물을 흘렸고, 베아타 수녀와 한 방을 썼던 지정 교무와 하정 교무는 “예수님의 마음으로 골고다 언덕을 걷겠다”며 뜨거운 눈물을 흘렸다. 본각 스님도 그리스도교 성구를 선물로 사 수녀들에게 나눠주었다. 사찰 음식의 대가인 선재 스님은 준배해온 음식으로, 형일 교무는 판소리로 각각 긴 여정의 시름을 달래주었다. 대부분의 숙식을 호텔이 아닌 수도원에서 하면서 긴 여정을 소화하느라 감기에 걸린 순례자들에게 혜성 스님은 온갖 약을 보시했다. 마지막 기착지인 이탈리아 로마에서 한나절 동안 옛유적을 돌아보던 이들은 아이스크림을 서로 베어 먹으며 어깨동무를 하고 로마 시내를 활보했다. 티격태격한 갈등은 마치 옛 추억이 된 연인처럼. 글·사진 조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
이탈리아 아시시 프란체스코성당 빗길의 한 우산 속 이웃 종교인들.
|
|
로마시내에서 수녀들과 어깨동무를 한 진명스님.
|
|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