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4.11 08:05 수정 : 2006.04.11 08:05

'대중독재와 박정희체제' 학술토론회

"대중은 독재의 피해자나 소극적 협력자가 아니라 적극적 협력자이거나 암묵적 동의자다."

'대중의 자발적 동의에 근거한 독재'라는 요지의 대중독재론 논쟁을 이끌어 온 한양대 비교역사문화연구소(소장 임지현)가 14일 한양대 신소재공학과 세미나실에서 '근대의 경계에서 독재를 읽다: 대중독재와 박정희 체제'라는 주제로 학술토론회를 개최한다.

토론회는 그동안 전개됐던 대중독재론 논쟁을 정리하고, 박정희 시대를 되돌아봄으로써 대중독재론의 실천적 함의를 살펴보는 자리다.

임지현 교수의 '독재와 민주주의의 근대적 기원' 등 7개의 논문이 발표되고 토론이 이어진다.

임지현 교수는 발표에서 독일ㆍ이탈리아의 파시즘 같은 20세기의 독재를 서양의 민주주의적 근대화의 '일탈'로 보려는 서양중심주의를 비판할 예정이다.

이 비판은 독재와 민주주의가 근대성의 양면이라는 점을 지적하는 것으로, "자유민주주의는 가장 세련된 형태의 전체주의가 아닐까"라는 도발적인 문제제기로 이어진다.


독재와 민주주의의 단절성보다 연속성에 주목하는 논의다. 그는 이러한 논의를 통해 '민주화는 곧 정치적 해방'이라는 단순화된 등식이 가지는 위험성을 환기시킬 예정이다.

임승희 선문대 교수는 지금까지 민주주의의 핵심 축으로 여겨졌던 '국민주권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의 문제를 제기한다.

그는 '근대 주권론의 역사적 함의:왕권신수설에서 국민주권론까지'라는 발표에서 '주권' 개념 자체가 국가와 국민을 동일시하게 만드는 일종의 '국가효과극'의 핵심장치였으며, 국민으로서 개인이 자신의 행위를 스스로 규제하도록 만드는 장치였다고 주장한다.

김원 서강대 연구교수는 발표 '박정희 시기 도시 하층민: 부마항쟁을 중심으로'에서 "대중은 체제에 대한 협력ㆍ적응과 소외감ㆍ박탈감이 혼재한 모순적 양상을 보인다"고 주장하고, 대중독재론과 민주화운동론 모두 한 방향으로 획일화된 대중을 상정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기 때문에 대중의 '모순적 복합성'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이밖에 토론회 말미의 종합토론 시간에는 조희연 성공회대 교수, 최갑수 서울대 교수, 연구공간 '수유+너머'의 고병권 대표 등이 참석, 대중독재론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을 펼친다. 학술토론회의 성과는 도서출판 그린비에서 단행본으로 출간될 예정이다. ☎02-2220-0545

김용래 기자 yonglae@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