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6.01 21:23 수정 : 2006.06.02 16:45

우리는 왜 선물을 주고받는가
김정주 지음. 삼성경제연구소 펴냄. 5000원

교환을 통해 자신의 이익을 도모하려는 합리적인 행위이자,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상징적 의사를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통로는? 답은 ‘선물’이다. 어떤 학자는 ‘선물’이 인간과 사회 자산에 대한 투자라고 정의하기도 했다. <우리는 왜 선물을 주고받는가>(김정주. 삼성경제연구소)는 선물의 기능뿐 아니라 나라별로 문화권별로 선물 행위의 차이를 분석한 ‘선물의 문화사회학’이다. 이를 위해 약 84개국 953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벌였고, 한국과 영국에서 포커스 그룹을 정해 연구하기도 했다. 결론은 집단을 중시하고 권력의 불평등이 심한 문화권일수록 선물 교환의 당사자 외 주변사람(제삼자)의 시선이 선물 행위에 끼치는 영향이 크다. 즉 서양보다 동양이, 동양 중에서도 유교 문화권에서 그렇다는 것이다. 또 이런 지역에선 ‘현금’이 주요 선물 품목으로 애용되며 ‘답례를 꼭 해야 한다’는 의무감이 강하다. 마지막 장은 ‘뇌물’에 할애해, 문화권별로 뇌물과 선물을 어떻게 구분하는지 분석한다. 동원된 각종 이론과 그래프, 함수 등이 볼만하다.

강김아리 기자 ari@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