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6.01 22:46 수정 : 2006.06.02 16:49

한기호/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장

한기호의 출판전망대

소설이 팔리지 않는다고 아우성이다. 오죽했으면 ‘문학 회생’에다 ‘힘내라, 한국문학!’이란 슬로건까지 내걸었을까? 그렇다면 대중은 정말 소설을 읽지 않는 것일까? 하지만 출판시장에서는 여전히 소설이 팔리고 있다는 증거가 계속 나타나고 있다.

그 증거는 대체로 두 가지 모습으로 부각되고 있다. 하나는 블록버스터다. 2005년은 오로지 <다 빈치 코드>(댄 브라운) 때문에 먹고 살았다고 할 정도로 블록버스터 소설은 세계를 ‘하나’로 만들고 있다. 블록버스터 소설은 처음에는 ‘해리포터’ 시리즈처럼 아동을 주 타깃으로 삼았으나 지금은 대상층이 모든 세대로 확장되었다.

이런 유형의 소설은 스펙터클한 영상과 결합하기 마련이다. 애초부터 영상화를 전제로 ‘만들어’지기에 치밀한 구성력이 뒷받침된다. 게다가 <다 빈치 코드>가 출간되기 전 9개월 동안 인터넷을 통해 사전홍보를 했다는 것을 감안하면 기획단계에서부터 세계시민을 염두에 뒀음을 알 수 있다.

<다 빈치 코드>를 우리는 현실(팩트)과 환상(픽션)의 경계가 해체된 팩션이라 부른다. 팩션에는 수많은 생경한 지식이 나온다. 팩션을 지식소설이라 불러야 한다는 이도 나오는 것을 보면 우리는 부지불식간에 소설에서도 정보를 얻기를 원하고 있는 듯하다. <다 빈치 코드>가 누구도 범접하기 어려운 ‘금기’를 다뤘다는 것은 그런 욕구를 매우 적절하게 이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순애다. 남녀의 지고지순한 사랑을 그린 가타야마 고이치의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는 지난해 320만부나 팔리면서 무라카미 하루키의 <상실의 시대>(원제 <노르웨이의 숲>)가 갖고 있는 역대 일본 소설 최고 판매기록을 단숨에 갈아 치웠다.

일본 출판계는 이 소설의 성공 이후 이른바 ‘울고 싶어라 증후군’이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한다. 어머니와 가족의 의미를 그린 장편소설 릴리 프랭키의 <도쿄 타워>가 베스트셀러가 된 것도, 소설을 소개할 때마다 어김없이 등장하다시피 하는 “절로 나는 눈물을 주체할 수 없는 게 당연하다”라는 선전 문구는 그 증거라는 말이다.

그럼 우리는 팩션을 만들어낼 만한 능력이 없는 것일까? 아니다. 영화 <왕의 남자>의 성공에 이어 드라마 <주몽>까지 인기를 끄는 것을 보면 우리도 충분한 능력을 갖췄다고 볼 수 있다. 김훈의 <칼의 노래>처럼 나름의 성취를 이룬 작품이 꽤 있다. 다만 이런 작품을 전 세계를 호령할 블록버스터로 만들어내는 ‘힘’이 부족할 뿐이다.

그렇다면 순애는? 이것은 우리가 가장 잘 표현하는 것 가운데 하나가 아닌가? 이런 흐름과 잘 맞아떨어지는 작가가 바로 공지영이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을 비롯한 그의 작품들을 읽고 많은 사람들이 손수건을 찾는다고 한다. 10만부가 넘게 팔린 소설을 찾기 어려운 현실에서 그의 작품들이 수십만 부를 가볍게 넘기는 것을 보면 ‘공지영 현상’은 쉽게 수그러들 것 같지 않다.

지난 시절, ‘구텐베르크 은하계’에서는 ‘활자를 통로로 모든 감각, 모든 지식에 접근’할 수 있었다. 그런 습관이 지금 소설시장에서는 팩션과 순애라는 두 ‘극단’으로 이어진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둘 다 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 문학도 여전히 희망이 있다는 증거가 아닌가?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