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자문>을 새롭게 기획한 히트작 <마법 천자문>에 나오는 천자문을 새긴 비석. <천자문>은 세월을 초월해 어린이 학습 교재로 생명력을 이어가고 있다.
|
하늘의 원리·땅의 이치·사람의 도리 단 한권에 집약
짜임새 있는 구성과 빼어난 묘사력 겸비
하룻밤에 완성하곤 머리 하얗게 세어 ‘백수문’ 별칭
고전 다시읽기/6세기 주흥사의 <천자문>
요즘 최고의 베스트셀러는? 학습만화 <마법 천자문> 시리즈란다. <마법 천자문>(아울북)은 지난 2003년 첫 출간 이후 지금까지 500만 부가 넘게 팔린 초대형 베스트셀러다. 완결편인 제20권이 나오면 판매 부수가 2천만 부를 넘을 것으로 예상한다니 대단하다.
그러면 출판계의 총체적 불황에도 불구하고 이 책이 성공한 이유는? 출판사 관계자에 따르면 “한자를 놀이도구로 만든 게 비결”이란다. 무턱대고 한자를 암기시키려는 다른 책들과 달리, 어린이들에게 인기 있는 만화주인공들을 활용해서 “흥미를 끌 수 있는 맥락을 심어주는 식으로” 만든 것이 적중했다는 것.
그러면 조선시대의 베스트셀러는? 단연 <천자문>이다. 아니 삼국시대 백제의 왕인박사께서 <논어>와 함께 <천자문>을 일본에 전하셨다니, 동아시아 최고·최대·최장기 베스트셀러가 <천자문>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을 판이다. (덧붙어 해외수출 서적 제1호로 <천자문>을 삼아도 되겠다.)
그러면 <천자문>이 베스트셀러가 된 까닭은? 무엇보다 이 책 한권이면 교양인으로서의 자격을 완비할 수 있을 만큼 각종 내용이 잘 갖춰진 ‘종합선물세트’라는 점을 들어야겠다. 1천자의 생활 한자에다 125가지 기본 문형, 그리고 자연과 지리, 역사 및 인물, 윤리와 철학, 게다가 정치원리와 사람됨의 조건 등 다양한 콘텐츠를 갖추었다는 것.
즉 ‘하늘의 원리와 땅의 이치, 그리고 사람의 도리’가 단 한권에 집약된 것이 <천자문>이다. 그렇다면 예나 지금이나 베스트셀러의 조건은 동일하다. ‘콤팩트한 디자인과 풍부한 콘텐츠’, 이것이 결정적 요소가 되겠다. 40~50대들이 초등학교 시절 한 권쯤은 갖고 있었을 참고서의 왕, <동아전과>가 <천자문>의 후예라고 할 만하다.
초장기 베스트셀러에는 아무래도 유사품이 나오게 마련. 왜 ‘초코파이 재판사건’이라고 있지 않던가. 오리온 ‘초코파이’가 워낙 잘 팔리다보니 그 본을 따서 모 제과에서 ‘초코파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려니까, 오리온에서 그 이름을 사용하지 못하게 해달라고 소송한 사건 말이다. 그 귀결은 어찌됐는지 모르겠으나, 베스트셀러에 유사품이 나도는 것도 예나 지금이나 다를 바 없을 터. <천자문> 역시 유사품이 판을 쳤다.
“하늘 천, 따 지”로 시작되는 원조 <천자문>은 6세기 중국 양(梁)나라 ‘주흥사’라는 이의 작품이라고 한다. 이걸 하룻밤 사이에 완성한 다음, 작가가 얼마나 에너지를 탕진했던지 머리가 하얗게 새버렸다고 하여 백수문(白首文)이라 부르기도 한다는 책. 여하튼 그 뒤를 이어 <속 천자문>이 나오는가 하면, 또 다른 글자 일천 개를 뽑아 <서고 천자문(敍古千字文)>이라는 책도 나오게 된다. 중국에선 다양한 ‘이종 천자문’이 쏟아져 나왔는데, 전통시대 아동도서의 대명사가 ‘천자문’이었던 셈이다. 이 땅에서도 이곳의 실정에 맞게 개정한 다양한 천자문들이 선을 보였다. 조선시대 초기에는 천자문의 체제를 본떠 만든 <유합(類合)>이라는 아동용 한자 학습서가 출간되었다. 서거정이 지었다고도 하는 이 책은 전체 21편에 1250자로 이뤄진 것이다. 조선 중기에는 여기다 1500자를 더 보태 3천자로 된 <신증 유합>이 출간되기도 했다. 조선 후기 대표적인 ‘천자문 유사품’은 다산 정약용의 <아학편(兒學編)>이다. <아학편>은 책 제목 그대로 ‘아이들이 배워야할 책’이라는 뜻인데, 역시 1천자를 뽑아 문장을 구성한 것이니 원조 천자문의 체제를 그대로 빌린 것이다.
|
|
배병삼/영산대 교수·정치학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