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6.09 19:36 수정 : 2006.06.09 19:36

‘에드워드 사이드의 눈’으로 한국사회 분석한 책 두 권

‘미국적 오리엔탈리즘’ 내재화해 제국에 동화
한-미 FTA도 ‘한국의 미국화’ 지향한 결과

에드워드 사이드(1935~2003)의 탈식민주의 문제설정을 한국 현실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제3세계 실천적 지성의 상징이었던 사이드를 통해 혼란에 빠진 한국 지성계에 새로운 싹을 틔우려는 시도다.

〈에드워드 사이드 다시 읽기〉(책세상 펴냄)는 사이드에 관한 한 국내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연구자들이 함께 쓴 책이다. 사이드로부터 직접 배우고 그를 국내에 소개한 김성곤 서울대 교수를 비롯해 김상률 숙명여대 교수, 오길영 충남대 교수 등 영문학자 11명의 글을 모았다.

〈오리엔탈리즘〉으로 널리 알려진 사이드의 사유는 ‘타자에 대한 이해’로 집약할 수 있다. “다른 문명의 고유성을 억압하는 서구의 지배담론을 해체함으로써, 재현되지 못한 자들의 목소리를 복원”(김상률·오길영)하려는 이론적 작업이다. 그 뼈대는 ”서구가 그동안 어떻게 동양을 교화하고 문명화하고 지배해야할 ‘타자’로 취급”(김상곤)했는지를 폭로하는 것이다.

한국은 21세기 오리엔탈리즘이 활개를 치는 땅이다. 애초 사이드는 유럽의 오리엔탈리즘에 주목했지만, 지금은 미국의 오리엔탈리즘이 문제다. 필자들은 “(한국) 지식층의 의식은 미국적 오리엔탈리즘에 적잖이 침탈당했고, 우리 삶 도처에서 덫처럼 도사린 구체적 현실이 됐다”(설준규)고 짚었다. “선/악, 문명/야만, 우수/열등 등의 이분법적 이야기에서 자신의 정체를 긍정적 세계인 백인의 세계와 동일시”(고부응)하는 태도가 대표적이다. 한국의 미국화를 지향하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우리 안의 오리엔탈리즘’이 작동한 결과로 평가할 수도 있다.

지난 2000년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정책에 항의하는 뜻으로 레바논 국경의 이스라엘 경비초소를 향해 돌을 던지는 사이드의 모습. <한겨레> 자료사진

〈오리엔탈리즘의 새로운 신화들〉(고즈윈 펴냄)은 이 대목에 각별히 주목한 결실이다. 언론학자이자 언론인으로 일했던 성일권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기획연구위원이 썼다. 사이드의 저작인 〈도전받는 오리엔탈리즘〉을 국내에 번역·소개했던 그는 이 책에서 한국 보수 지식인들의 담론 체계를 오리엔탈리즘의 틀을 빌려 비판했다.

성 위원이 보기에 “‘악의 레짐’과 ‘선의 레짐’이라는 부시 미 대통령의 수사는 ‘문명과 야만’이라는 오리엔탈리즘의 전형적 도식을 재현”한 것이다. “미국식 오리엔탈리즘의 궁극적 목적은 동양을 관리·지배·억압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은 지옥과 같은 공산국가인 북한, 미국의 도움으로 아시아 자본주의의 총아가 된 남한이라는 신화를 깨고 싶어 하지 않는다. 그들은 그 신화 속에 한반도가 갇혀 있길 바란다.”

미국식 오리엔탈리즘은 우리 사회 깊숙이 스며들었다. “한국 보수세력이 갖고 있는 ‘대한민국의 모습’은 독재정권의 분단논리, 강대국의 냉전논리, 일본의 식민지배논리가 만들어낸 허구들의 조합이다. 그 담론 체계는 당연히 실제 현실과는 무관하다.” 성 위원은 ‘신우익’(뉴라이트)을 그 대표주자로 꼽았다.


신우익은 “미국식 오리엔탈리즘을 내재화하고 이상화한 ‘복제 오리엔탈리즘’”을 구현하고 있다. 이들의 목표는 “악의 축 북한과 남한의 친북정권을 무너뜨려 한반도를 명실상부한 팍스 아메리카나 제국의 일원이 되도록 하는 것”이라고 성 위원은 지적했다. “우리 사회의 오리엔탈리스트들은 자신들만이 친북, 좌파, 반미라는 악의 세력으로부터 한국 사회를 구해낼 수 있다고 말한다.” 성 위원은 류근일·김대중·조갑제·이영훈·유석춘·제성호·정진홍 등을 ‘우리 안의 오리엔탈리즘’을 구현하는 미디어 지식인의 대표적 사례로 꼽고, 이들에 대한 비판도 시도했다.

아직 거친 구석이 있긴 하지만, 오리엔탈리즘의 틀을 빌려 한국 지식사회를 분석하려는 노력은 참신하다. 〈에드워드 사이드 다시 읽기〉에서 정정호 중앙대 교수는 “(사이드의) 포스트식민이론이 해체이론·다문화주의론 등과 같이 또다른 ‘무장해제이론’으로 오용되어 아무런 실천적 역할을 해내지 못하다가 사라질지도 모른다”며 “새로운 형태로 계속 변장하는 신식민주의와 신제국주의에 저항하는 포스트식민론을 실천의 대항담론으로 전화시키자”고 제안했다.

안수찬 기자 ahn@hani.co.kr

에드워드 사이드 → 제3세계 실천적 지성…차이를 우열로 왜곡시키는 제국주의 비판

에드워드 사이드는 1935년 팔레스타인에서 태어나 이집트에서 공부하고 미국에서 학위를 마친 ‘영원한 방랑인’이었다. 프린스턴대·하버드대에서 공부하고 컬럼비아대에서 가르쳤다. 명저 〈오리엔탈리즘〉을 비롯한 여러 저술을 통해 차이를 우열로 왜곡시키는 서구의 제국주의적 관점을 비판했다. 아랍인이면서 기독교도였으며 동시에 이슬람을 옹호했다. 팔레스타인 망명 국회 의원을 지냈지만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의 야세르 아라파트 의장을 비판하기도 했다. 아랍어·영어·독일어·프랑스어·이탈리아어·스페인어 등 여러 언어를 자유롭게 구사했고, 수준급의 실력으로 피아노 연주회까지 열었던 천재였다. 미국 유대계 지식인들의 비난에 둘러싸여 테러 위협까지 당했지만, 백혈병과 싸웠던 말년에는 유대계 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았다. 비판적·실천적 지성인을 대표했지만, 마르크스주의 대신 좌파 지식인으로 남기를 원했다. 그는 생전에 “어디를 가나 자신의 조국처럼 느끼는 사람은 강한 사람이다. 그러나 어디를 가든지 낯선 나라처럼 느끼는 이야말로 완성된 사람이다”라는 12세기 독일 수도승 후고의 말을 즐겨 인용했다. 갈수록 이 사회가 ’낯설어지는’ 한국인들은 또 다른 의미에서 사이드의 후예다.

안수찬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