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라톤과 유럽의 전통
이상인 지음. 이제이북스 펴냄. 2만2000원 |
근대의 해석 전제하지 않고 고대문헌 자체 분석을 통한 플라톤 철학 제대로 보기
유럽철학의 전통은 플라톤 철학에 대한 일련의 각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할 만큼 플라톤은 서양철학에서 중추적인 인물임에 틀림없다. 그러니 이제는 국내에도 제대로 된 플라톤 전집이 출간되고 여러 연구서가 나와야 할 것이다. 다행히 박종현 교수가 플라톤의 주요 대화편들의 역주서들을 내놓고 있고, 정암학당에서는 플라톤 전집을 5년 안에 출간할 계획을 세워 1차로 몇몇 번역본이 조만간 출간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이번에는 연세대 이상인 교수가 <플라톤과 유럽의 전통>(이제이북스)이라는 연구서를 출간하니 여간 기쁜 일이 아니다. 이 책을 접하며 우선 지은이의 폭넓은 지적 섭렵에 부러움을 느낀다. 지은이는 이 책 속에서 플라톤을 중심에 놓고 논의를 전개하지만, 플라톤 말고도 아리스토텔레스, 스토아학파, 신피타고라스주의, 헤겔, 히포크라테스 등을 논의에 끌어들이는 넓은 식견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1장 3절(헤겔의 역사 이해와 역사 해석)의 경우는 간결하게 처리했으면 하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의 전체의 흐름에는 기존의 플라톤 연구서들과 달리 눈에 띄는 흥미로운 특징이 있다. 지은이는 플라톤 철학을 비롯해 고대철학이 근대 이래로 소박한, 전근대적인 것으로 폄하되어 극복되어야 할 대상으로 여겨져 왔다고 보고, 이에 강력하게 이의제기를 한다. ‘지나간 전통은 본디 개혁의 대상이 아니라 개혁의 모태이다’라는 것이 지은이의 입장이다. 더욱이 지은이는 고대의 주제의식은 근대의 주제의식과 동등한 수준에서 경합할 수 있는 것이라고 보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지은이는 근대의 해석을 전제로 하지 않고 고대문헌 자체에 대한 분석을 통해 플라톤 철학의 정당한 위상을 정립하고자 한다.
|
서양철학은 플라톤 철학의 각주에 지나지 않는다는 말을 낳을 만큼 서양철학사에서 플라톤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다. 그림은 라파엘로의 <아테네 학당> 중 플라톤(왼쪽)과 그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 <한겨레> 자료사진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