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6.30 18:57 수정 : 2006.06.30 18:57

1987년 6월항쟁 당시 부산 국민평화대행진의 장면. <88년 보도사진 연감>

정해구 교수 “용산에 민주주의 기념관도 지어 축제로” 제안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소장인 정해구 성공회대 교수는 이날 토론에서 6월 민주항쟁의 ‘국가적 기념’을 공식적으로 제안했다.

“6월 민주항쟁을 과거의 역사로서 일단 기념하고 이를 현재와 미래의 한국 민주주의로 연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특히 “민주화운동의 주요 사건이었던 4·19와 5·18이 이미 국가기념일로 제정된만큼, 그 정점에 서 있는 6월10일을 국가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장기적으로 6월10일을 국경일로 지정하고, 옛 미군기지 터였던 용산에 민주주의 기념관을 건립할 것도 제안했다. 정 교수는 “단순히 추모의 차원을 넘어 민주주의 시민축제로서 6월 항쟁을 부활시켜야 한다”며 “그 20주년을 1년 앞둔 지금, 이를 위한 범국민적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현백 성균관대 교수는 6월 항쟁의 21세기적 변환을 요구했다.

“서구에서 일어났던 68혁명이 왜 한국에선 일어나지 않는지 스스로에게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가 말하는 68혁명의 핵심은 “일상적 삶에서 운동의 이념을 치열하게 실천하려는 태도,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이라는 착안, 정치적·제도적 실천에 머무르지 않으려는 근본적인 문제의식” 등이다.

정 교수는 “절차적 민주주의에 이어 경제·사회적 민주주의를 진전시켜야 한다고 말하는데, 경제적 민주화가 되면 과연 사람들이 행복해질 것인지 의문”이라며 “기존의 패러다임과 가치관을 바꿔 ‘한국적 68운동’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김상곤 한신대 교수는 “사회적 공공성의 가치를 중심으로 ‘민주화 이후 체제’를 담당할 개혁진보정당을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고, 김형기 경북대 교수는 “낡은 답을 되풀이 하지 않으려는 깊은 성찰 위에 실현·지속가능한 점진적 경제민주화의 역량을 강화하자”고 제안했다.


안수찬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