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필 이로움을 말씀하십니까 오직 인의만 있을 뿐입니다” |
“맹자가 양혜왕(위나라 혜왕)을 만나 뵈었다. 왕이 말했다. “노인께서 천리를 멀다하지 않고 오셨으니, 역시 장차 내 나라를 이롭게 할 방도가 있으십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왕께서는 하필 이로움을 말씀하십니까? 역시 인의가 있을 뿐입니다. 왕께서 ‘무엇이 내 나라를 이롭게 할 것인가’라고 하면 대부들은 ‘무엇이 내 집안을 이롭게 할 것인가’라 하고 사와 서민들은 ‘무엇이 내 몸을 이롭게 할 것인가’라고 하게 될 것이니, 위아래가 서로 이로움을 취하려 들면 나라가 위태로워지게 됩니다. 만승의 나라(병거 만 대를 낼만한 영지의 대국)에서 그 임금을 죽이는 자는 반드시 천승의 나라입니다. 천승의 나라에서 그 공경을 죽이는 자는 반드시 백승의 집입니다. 만승의 나라에서 신하로서 천승을 취하고 천승의 나라에서 신하로서 백승을 취하는 것은 결코 많지 않다고 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만일 의를 뒤로하고 이익을 앞세운다면 빼앗지 않으면 만족하지 않을 것입니다. 인의 마음이 있는데도 자기 부모를 버리는 일은 없으며, 의의 마음이 있는데도 그 군주를 뒷전으로 돌리는 법은 없습니다. 왕께서는 역시 인의를 말씀하셔야 할 것입니다. 하필 이로움을 말씀하십니까?”(孟子見梁惠王. 王曰: “(?)不遠千里而來. 亦將有以利吾國乎?” 孟子對曰: “王何必曰利? 亦有仁義而已矣. 王曰: ‘何以利吾國?’ 大夫曰: ‘何以利吾家?’ 士庶人曰: ‘何以利吾身?’ 上下交征利而國危矣. 萬乘之國弑其君者, 必千乘之家, 千乘之國, 弑其君者, 必百乘之家. 萬取千焉, 千取百焉, 不爲不多矣, 苟爲後義而先利, 不奪不?. 未有仁而遺其親者也, 未有義而後其君者也. 王亦曰仁義而已矣, 何必曰利?)(<梁惠王·上>)
“무릇 사람은 반드시 제 스스로 모욕받을 짓을 한 뒤에 남이 자기를 모욕하고, 집은 반드시 제 스스로 해될 짓을 한 뒤에 남이 해치며, 나라는 반드시 제 스스로 정벌당할 짓을 한 뒤에 남이 정벌하는 법이다. <서경> ‘태갑’ 편에 보면, ‘하늘이 일으키는 재해는 그래도 피할 방도가 있을 수 있지만, 스스로 만들어낸 재앙은 벗어나 살 길이 없다’라고 하였다. 바로 위의 사실을 두고 말한 것이다.”(夫人必自侮, 然後人侮之. 家必自毁, 而後人毁之. 國必自伐, 而後人伐之. 太甲曰, ‘天作孼, 猶可違. 自作孼, 不可活.’ 此之謂也.)(<離婁· 上>)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