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캐릭터’는 소설, 만화, 극 등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또는 인물만의 독특한 개성과 이미지를 말하기도 한다.
|
미키마우스부터 뽀로로까지
상상 만큼 펼쳐지는 판타지 세계
상상하면 모든 것이 현실이 되는 세상이다. 기술은 불과 몇 년 전의 모습도 코미디 소재로 삼을 만큼 세상을 변화시켰다. 이제는 과학적으로 실현 불가능해 보이던 것도 현실세계에 등장한다. 우리는 이를 판타지(Fantasy)라고 부른다. 판타지는 세상을 더 풍성하고 재밌게 만든다. 이 판타지의 핵심이 되는 것이 ‘캐릭터’이다.
1919년, 흑백의 무성 애니메이션에 등장한 검은고양이 “펠릭스(Felix the cat)”의 반향은 거대했다. 오랜 시간 서구 사회에서 깊은 저주를 상징했던 ‘검은 고양이’가 행운의 상징으로 전환되는 순간이었다. 대중은 등장인물이(더구나 동물이!) 독특한 개성을 가지고 움직이는 것에 온몸으로 열광했다. 사람들의 모든 옷과 장난감에 펠릭스가 등장하며 이 작은 고양이 한 마리는 순식간에 스타의 반열에 올라섰다.
이 사건을 캐릭터 산업의 시초, 산업화된 최초의 캐릭터로 본다. 이를 기반으로 ‘위니 더 푸우(1926)’와 ‘스팀보트 윌리(1928)’같은 무성 애니메이션이 등장, 최고의 슈퍼스타 전설로 남은 ‘미키마우스’가 탄생하게 된다. 1995년 ‘픽사’가 내놓은 3D 애니메이션 ‘토이스토리’의 성공부터 오늘날 스마트 기기에서 현실로 뛰어나온 ‘앵그리 버드’까지. 미디어와 형태는 달라도 판타지의 세계는 지속적으로 창조되고 발전되어왔다.
|
캐릭터열전 : ‘미피(1955)’, ‘스머프(1958)’, ‘아스테릭스(1961)’, ‘찰리브라운(스누피/1969)’, ‘헬로 키티(1974)’, ‘스타워즈(1977)’, ‘건담(1979)’등을 거치며 캐릭터는 사람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기도 하고, 여러가지 상품을 통하여 현실로 나타나 판타지와 현실의 경계를 허물었다.
|
|
한국 2세대 캐릭터의 문을 연 ‘뽀롱뽀롱 뽀로로(2003)’
|
이민재
(사)한국문화콘텐츠 라이센싱협회 사무국 국장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