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8.18 19:25 수정 : 2005.08.18 19:26

이문숙 첫 시집 <천둥을 쪼개고 씨앗을 심다>

<천둥을 쪼개고 씨앗을 심다>(창비)는 시인 이문숙(47)씨가 등단 14년 만에 가까스로 펴낸 첫 시집이다. 여기서 ‘가까스로’란 말은 ‘어렵사리’로 바꿀 수도 있을 텐데, 어느 경우든 시인 쪽의 절차탁마와 심사숙고를 가리키는 말이지 혹시라도 무능과 태만의 증거로 오해해서는 곤란하다. 이런 주문은 사실 부질도 없는 것이, 시집을 읽어 보면 누구나 확인 가능한 사항이기 때문이다.

 “한쪽이 허물어진 달처럼/가장()이 빠져 있는 식사, 저 찬으로 놓인/노각은 저 달 속에서도 아삭거리며/썩은 치아에 씹히고/구름의 그늘 속으로/천천히 들어갔다 나온다”(<여름밤>)

 “옛과 새,/구()와 신() 사이에는 철길이 있다/이 철길을 건너기 위해서는 건널목지기의 검문을 거쳐야만 한다/깃털 빠진 암탉, 병든 수캐/덜덜거리는 행상 트럭은 건너기도 전에 차단기가 내려진다”(<철길을 건너는 법>)

시인의 시선이 세상의 낮고 남루한 존재들에게로 가 닿는 것을 보라. 이문숙 시의 어조는 지극히 나지막하고 잔잔하여 좀체로 튀어오르는 법이 없다. 남들의 시선이 화려하고 떠들썩한 것들을 향하는 동안 그는 버려지고 잊혀진 것들을 안쓰러이 보듬는 것인데, 그의 좋은 시들은 그런 장면을 꾸밈없이 드러낼 때 생산된다.

 “사윈 것들이 다 사윈 뒤에/다 된 저녁이 구부정 휜 허리로 그곳을 지난다/핏빛 노을의 끝이/저렇게 갑작스러워서 나는 거길 지날 때마다/마음이 긁힌다”(<소하천>)

 “작년에 신다 책상 아래 팽개쳐 뒀던 슬리퍼/먼지를 폭삭 뒤집어쓰고 까마득 버려져서도 슬리퍼는/여전히 슬리퍼다/기억이란 다 그런 것이다”(<슬리퍼>)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