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8.25 16:24 수정 : 2005.08.25 16:26

잔혹과 매혹 레이첼 에드워즈, 키스 리더 지음. 이경현 옮김. 이제이비 펴냄. 1만5000원

잠깐독서

1933년 2월, 프랑스의 한적한 시골 도시에서 살인 사건이 일어났다. 하녀 자매가 주인 모녀에게 달려들어 맨손으로 (살아있는 그들의!)눈알을 뽑아냈다. 두 하녀, 크리스틴 파팽과 레아 파팽은 망치로 모녀의 머리를 때리고 부엌칼로 몸통과 다리를 베었다. 자매는 서로의 칼과 망치를 바꿔가며 “오븐에 들어갈 준비가 된 고기처럼” 될 때까지 그들의 몸을 난자했다. 일을 마친 자매는 범행을 숨기려는 어떤 노력도 하지 않고, 몸을 씻은 뒤 잠옷을 입고 자신들의 침대 위에 나란히 누웠다. 경찰에 체포당할 때까지 침대에서 잠들어 있었던 그들은 아무 저항도 하지 않았다. 대신 “이제 제대로 됐어”라고 중얼거렸다.

이 살인 사건은 단 한순간에 프랑스를 충격으로 몰고 갔다. 수많은 소설과 연극, 영화로 재탄생했고, 이런 ‘2차 텍스트’는 지금까지도 계속 생산되고 있다. 동시에 숱한 지성인들이 이 사건에 몰입했다. 초현실주의 시인 엘뤼아르, 정신분석학자 자크 라캉, 여성학자 시몬느 드 보봐르, 철학자 사르트르 등이 이 사건의 잔혹에 매혹당한 대표적 지식인들이다.

파팽 자매 살인사건이 다른 엽기적 살인 사건에 비해 ‘섬뜩한 불멸성’을 획득한 것은 이 ‘텍스트’가 가진 유례없는 풍부함때문이다. 자매는 살아있는 사람의 눈알을 뽑았다. 살인 당시 두 자매가 생리중이었고 범죄 이후엔 생리를 다시 하지 못했다. 전생에 부부였다고 믿었던 두 자매는 동성애 근친관계로 맺어져 있었다. 감옥에서 두 자매가 재회했을 때 언니는 황홀경에 빠져 “나를 원한다고 말해줘”라고 외쳤다. 살인의 이유에 대해선 “여주인들의 피부를 갖고 싶었다”고 답했다.

이 책은 크게 정신분석학, 문학, 영화 등의 영역에서 파팽 자매 살인 사건에 대한 다양한 ‘독해’와 ‘재생산’의 결과를 짚는다. 이는 파팽 자매에 투영된 현대 프랑스 담론을 살피는 과정이기도 하다. 흥미진진한 지적 모험으로 독자들을 이끄는 책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