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대녕 장편 <호랑이는 왜 바다로 갔나>
|
2년전 제주로 떠난 작가와 제주로 간 주인공을 취미는 낚시 “살생을 해야 득도합니다” ‘죽음’에서 낚아올린 건 ‘삶’ 호랑이띠 자전적 색체 묻어나
소설가 윤대녕(43)씨가 홀연 제주로 향한 것은 2003년 4월이었다. 문인들이 몰려 사는 신도시 일산에서 하루가 멀다 하고 술을 마시며 한 시절을 구가하던 끝이었다. 술자리를 피해, 외로움을 각오하고 내려간 제주에서 그는 무엇보다 낚시에 몰두하는 모양이었다. 이따금씩 보내 오는 이메일은 ‘오늘의 조과’라는 제목 아래 그날 잡은 물고기들의 사진과 이름을 안내하는 내용이었다. 물고기들은 바닥에 펼쳐 놓은 신문지 위에 눕혀져 있기도 했고, 잠이 덜 깬 어린 아들의 손에 들려 있기도 했다. 벵에돔이며 우럭이며 학꽁치며, 고기 종류별로 먹는 방법이 간단하게 덧붙여져 있기도 했다. 윤대녕씨는 올해 4월, 2년 동안의 제주 생활을 마감하고 일산으로 돌아왔다. 그는 왜 제주로 갔던가. 그가 새로 내놓은 장편소설 <호랑이는 왜 바다로 갔나>(생각의나무)에 그 해답의 일단이 들어 있다. 소설의 주인공은 작가와 동갑인 소설가 ‘영빈’. 그는 어느날 홀연히 제주로 떠난다. “호랑이를 잡으러”(24쪽) 제주에 온 그가 주로 하는 일은 그러나 낚시, 한갓 물고기 잡기일 뿐이다. 소설은 영빈이 제주 바다의 이런저런 포인트들에서 낚시줄을 드리우고 물고기를 낚는 이야기를 진지하게 또 집요하게 기술한다. 소설 속에서 “영빈은 신문지 위에 퍼득거리는 물고기를 올려놓고 사진을 찍어 서울로 보냈다.”(20쪽) 서울에는 누가 있었던가. 그보다 아홉 살 어린 여자친구 ‘해연’과, 두 사람의 술친구이기도 한 수수께끼의 재일동포 ‘히데코’가 있다. 영빈과 해연은 기묘한 인연으로 얽힌 사이. 두 사람은 1994년 10월21일 성수대교 붕괴 때, 무너지는 다리 바로 앞에까지 이르렀으나 다행히도 강물로 떨어져내리지는 않은 택시 안에 낯선 동행으로 앉아 있었다. 그로부터 9년 뒤 같은 아파트 단지에서 살게 된 두 사람은 친구도 아니고 연인도 아닌 어정쩡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참이다. 히데코는 그들이 자주 들르는 카페에서 만난 사람으로, 둘 사이의 느슨한 관계에 긴장과 탄력을 불어넣는 구실을 한다. 영빈 따라다니는 죽음의 그림자 영빈과 해연, 두 주인공의 관계에 개입하는 것이 히데코만도 아니다. 영빈과 그 아버지, 해연과 그 어머니 사이의 심각한 갈등이 둘의 앞을 거대한 바위처럼 가로막고 서 있는 형국이다. 그 갈등은 각각 가까운 가족 구성원의 죽음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영빈 부자의 경우에는 대학 시절 동료 학생들에게 프락치로 몰려 자살한 형의 죽음이, 해연 모녀의 경우에는 다른 남자를 사랑해서 떠나간 어머니 때문에 상심해서 미친 듯이 바다낚시를 다니다가 실족해 죽은 아버지의 죽음이 짙은 그늘을 드리우고 있다.두 사람 사이를 훼방 놓으며 결국은 도와주는 히데코에게 죽음과의 친연성은 한층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고등학교 시절 그는 학교 동창으로 자신처럼 한국인의 피가 4분의1 섞인 실존인물 사기사와 메구무가 소설가로 등단하는 모습을 보며 충격과 질투에 사로잡힌 끝에 대학생과 성관계를 맺기에 이르는데, 그는 자신의 등에 제 이름을 문신으로 새겨 놓고는 자살하고 만다. 등의 문신은 그로 하여금 이후 다른 남자들과 정상적인 관계를 맺지 못하게 하거니와, 사기사와 메구무의 자살 소식을 들은 얼마 후 히데코 역시 도쿄로 돌아가 자살을 택한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