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어, 포스트모더니즘과도 통한다” 논어의 논리 박이문 교수
|
“논어, 포스트모더니즘과도 통한다”
박이문 연세대 특별초빙 교수(사진)가 <논어의 논리>(문학과지성사)를 펴냈다. ‘<논어>의 철학적 재구성’이라는 부제가 붙었다. 그를 아는 사람들은 “드디어 나올 책이 나왔구나” 할 것이다. 박 교수는 1980년 <노장사상>(문학과지성사)을 썼다. 프랑스에서 서양 문학을, 미국에서 서양 철학을 공부한 박 교수로선 일종의 ‘외도’였지만, 이 책은 출간 즉시 대표적인 노장사상 입문서로 자리잡았다. 무려 17쇄를 거쳐 2004년 개정판까지 나왔다. 젊은 시절 이 책의 충실한 독자였던 출판평론가 이권우는 “노장사상을 서양철학과 견주고 맞서게 하는” 책이라고 회고한다. <논어의 논리>는 공맹사상을 서양철학과 견주고 맞서게 하는 책이라고 표현할 만하다. 공자의 사상을 논리적 체계를 갖춘 철학의 문제로 전환시키려는 학문적 모색이 담겨 있다. <노장사상>이 그랬듯 <논어의 논리>도 작고 가벼운 책이다. 200여쪽의 문고판형이다. 고전에 등장하는 핵심 개념을 추출해 현대 철학의 범주와 잇대어 사상 체계 전체를 재구성해가는 방식도 닮았다. 인(仁), 예(禮) 등 논어의 개념이 존재론, 인식론 등 서양철학의 개념과 종횡으로 만난다. 박 교수가 보기에 <논어>라는 텍스트 자체는 철학과는 거리가 멀다. 철학의 핵심요소인 논증과 체계를 갖추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신 “훈육적인 말을 지루하게 반복적으로 선언”할 뿐이다.
|
“논어, 포스트모더니즘과도 통한다” 논어의 논리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