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히포크라테스가 의학을 신학으로부터 독립시키는 데 공헌을 했다면 클라우디우스 갈레노스는 의학을 하나의 학문으로 집대성한 것으로 평가된다. 사진은 갈레노스가 활동하던 2세기께 앉아서 책을 보고 있는 의사를 묘사한 조각 작품이다.
|
어려서부터 여러 철학 두루 섭렵 철인황제 아우렐리우스 주치의 지내 “가장 훌륭한 의사는 또한 철학자” 살아있는 개 신경절단 실험 과학·합리적 방법론은 오늘날도 유효
의학속 사상/③ 의학의 집대성(서양): 갈레노스 고대 서양의학을 대표하는 인물을 두 사람 꼽으라면 히포크라테스와 갈레노스를 들 수 있다. 히포크라테스는 의사의 윤리강령을 담은 소위 ‘히포크라테스 선서’로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알려져 있지만 갈레노스를 아는 사람은 현대의 의사들 가운데서도 그리 많지 않다. 그러나 서양의학에 미친 실질적 영향만을 따지고 본다면 갈레노스의 몫이 더욱 크다. 히포크라테스는 서양의학의 정신이라는 측면에서 상징적 의미가 큰 인물인 것은 사실이지만 적어도 르네상스 시기까지 서양의학을 실질적으로 지배한 것은 갈레노스의 의학 이론이었다. 서양철학의 경우를 비유하자면 히포크라테스가 플라톤이라면 갈레노스는 아리스토텔레스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갈레노스는 기원 후 2세기 소아시아의 도시 페르가몬에서 태어났다. 당시 페르가몬은 지중해 최대의 도시이자 헬레니즘 시대를 대표하는 도시 알렉산드리아에 버금가는 도시였다. 그의 아버지는 유명한 건축가였으며 갈레노스는 아버지를 깊이 존경했다. 갈레노스는 당시의 교육 방식에 따라 어려서부터 철학을 배웠다. 당대를 대표하는 철학의 학파에는 플라톤의 아카데미 학파, 아리스토텔레스의 리케이온 학파, 스토아 학파, 그리고 에피쿠로스 학파가 있었는데 갈레노스는 각 학파를 대표하는 스승들한테 철학을 배웠다. 이러한 철학적 소양은 뒷날 갈레노스가 의학 이론을 체계화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갈레노스가 열다섯 되던 해, 그의 아버지는 특별한 꿈을 꾸게 된다. 의술의 신 아스클레피우스가 꿈에 나타나 갈레노스를 의사로 만들라는 지시를 내린 것이다. 이 꿈에 따라 갈레노스의 아버지는 아들에게 의학 공부를 시켰고, 갈레노스는 유명한 스승들을 찾아 페르가몬뿐 아니라 지중해 연안의 여러 도시들을 다니며 의학 공부를 했다. 이렇게 실력을 닦은 갈레노스는 당시 서구를 지배하던 제국의 수도 로마로 입성했다. 로마의 의사들과 실력을 겨룬 끝에 뛰어난 실력을 인정받은 갈레노스는 철인황제로 유명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주치의가 되었다. 로마에 있는 동안 갈레노스는 의학과 철학에 대한 많은 저술을 남겼다. 그는 문학, 철학, 역사, 과학 등 모든 분야를 통틀어 현재까지 희랍어로 가장 많은 글을 남긴 사람이다. 그의 저술은 19세기 초 독일의 의사 퀸이 펴낸 전집으로 1천 쪽짜리 책 스무 권에 해당하는 방대한 분량으로 전해오고 있다. 이 책은 라틴어와 희랍어의 대역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를 고려해도 500쪽짜리 책 스무 권에 해당되는 분량이다. 그러나 이 방대한 분량도 갈레노스가 남긴 저술의 삼분의 일에 불과하다고 하니 그가 얼마나 많은 글을 저술했는가를 짐작할 수 있다. 의학·철학 방대한 저술 남겨기원 후 4세기 초, 갈레노스가 죽자 별도의 학파를 형성하지 않은 갈레노스의 명성은 잠시 주춤하는 듯했으나 5세기 이후부터 갈레노스의 의학은 본격적으로 서양의학에 영향력을 미치기 시작했다. 그러나 갈레노스는 워낙 많은 분량의 저술을 남겨 후대의 의사들이 그것을 모두 읽고 공부하기란 불가능한 일이었다. 더구나 인쇄술이 발명되기 전이니 책을 만들고 구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래서 상당 기간 갈레노스 의학의 방대한 내용들을 요약하고 정리하는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이런 요약서들을 통해 갈레노스의 의학이 전해졌다. 이러한 책들은 복잡다단한 이론을 이해하기 쉽게 단순화해 유통시켰다. 후대에 많은 비판의 대상이 되는 갈레노스 의학의 독단적 성격은 그의 의도와 무관하게 이렇게 해서 나타난 것이다.
|
의술의 학문화 이룬 의학계 ‘아리스토텔레스’
|
|
여인석/연세대 교수·의학철학 isyeo@yumc.yonsei.ac.kr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