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지예씨의 그림소설 <사랑하거나 미치거나>
|
고흐 불행한 말년, 촌뜨기 로트레크의 슬픔 피카소의 일곱 여인과 모딜리아니의 한 여인 그림을 통해 풀어놓은 화가 열명의 이야기 그들의 열정, 사랑과 광기에서 비롯되었구나
권지예(45)씨의 신작 <사랑하거나 미치거나>(시공사)는 ‘그림소설’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나왔다. 그림으로 쓴 소설이라서가 아니라, 그림을 가지고 쓴 소설인 탓이다. 고흐, 로트레크, 피카소, 모딜리아니 등 화가 열 사람의 그림에서 영감을 받아 쓴 이야기들이 연작 형식으로 묶였다. 작가 권씨의 글과 그 글이 다루고 있는 그림 도판이 함께 실려 있어 양쪽을 비교해 가며 보고 읽는 별미가 있다. 빈센트 반 고흐를 그린 <별이 된 남자>는 고흐의 그림 <별이 빛나는 밤> <자화상> <빈센트의 침실> <까마귀가 있는 밀밭> <귀에 붕대를 감고 있는 자화상>과 동업자이자 친구였던 폴 고갱의 <해바라기를 그리고 있는 빈센트>를 곁들이며 고흐의 마지막 날들을 재구성한다. 동거하던 고갱과 다툰 뒤 자신의 귀를 잘라 창녀에게 선물한 1888년 성탄절 전야에서부터 복부에 권총을 쏘고 사흘 뒤 마침내 숨을 거둔 이듬해 7월까지가 시간 배경이다. 작가는 이 불행한 화가의 말년을 동정심을 가지고 기술하면서 고흐의 그림에 대한 나름의 인상과 평가도 곁들이는데, 가령 이러하다: “그의 그림들은 오만했다. 대지와 중력에 저항하는 듯했으며 그 격렬한 생명력으로 마치 태양을 향해 꿈틀꿈틀 승천하는 듯했다. 태양은 거대한 자석이었고 그의 그림 속의 모든 생명 있는 자연은 그 자력에 감응하여 생명의 춤을 추는 듯했다.”(13쪽) 글·그림을 비교해가며 읽는 재미 고흐를 독주 압생트의 세계에 입문시킨 난쟁이 화가 툴루즈 로트레크의 그림에는 <촌뜨기! 정말 촌뜨기!>라는 제목의 글이 헌사됐다. 평생 물랭루즈의 환락가 풍경을 그렸던 로트레크의 그림 가운데서는 드물게 정적이고 점잖은 <세탁부>의 모델이 주인공이다. 순진한 촌뜨기의 눈에 비친 물랭루주의 화려한 외관과 그 이면에 감추어진 슬픔과 환멸을 통해 로트레크 그림의 양면성을 드러낸다. 작가 권씨의 ‘그림소설’들은 화가의 생애나 연애담 같은 뒷얘기를 적당히 그림과 결합시키는 데에 그치지 않고, 그림의 맥락과 의미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그에 걸맞은 이야기의 내용과 형식을 고안해 낸 결과물들이라 할 수 있다. 난봉꾼이자 정력가였던 파블로 피카소를 다룬 <러버들의 수다>는 피카소가 사랑했던 일곱 여인이 한데 모여 피카소를 그리워하며 한편으로 그를 헐뜯는 수다로 이루어져 있다. 법적으로 혼인관계를 맺었던 두 여인, 피카소의 아이를 낳은 두 여인, 그리고 그 넷에 못지않게 피카소를 열정적으로 사랑했노라 자부하는 세 여인이 한바탕 수다를 떠는 가운데 피카소의 화려했던 여성 편력, 그리고 그의 다채로운 화풍의 배경을 이루는 여인들의 영향력이 드러난다. 여성들은 서로가 자신이야말로 천재 피카소를 만들어 낸 영감의 원천이며, 자신들의 사랑이 가장 진정어린 것이었음을 역설하며 다투는데, 마지막에 그들이 한 목소리로 동의하는 것은 이런 것이다: “그러고 보니 피카소는 별거 아냐. 우리 모두가 만들어낸 거야. 그는 우리들이 없었으면 피카소가 아니었던 거야.”(80쪽)
|
모딜리아니 ‘노랑 스웨터의 잔’.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