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병목의 독서퍼즐
|
박지원 <열하일기> [가로 열쇠] 1. 갑자기 세차게 내리다가 곧 그치는 비. 소낙비. 처음 강을 건널 때부터 내리기 시작한 ○○○는 열하로 가는 내내 일행을 괴롭힌다. 3. 배를 안고 넘어진다는 뜻. 몹시 웃는다는 의미로 사용됨. <열하일기>에 가장 자주 출현하는 낱말 중 하나다. 여행의 목적이 마치 이것에 있는 것처럼 연암은 이 단어를 즐겨 사용한다. 4. <돈 키호테>의 저자. 돈 키호테가 시종 산초 판사와 애마 로시난테만을 데리고 천하를 주유하듯 박지원은 우직한 하인 창대와 장복이만 동반한 채 수행단 중 유일하게 홀로 여행을 즐긴다. 5. 파로 만든 김치. 기진맥진한 상태를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연암은 ○○○처럼 지친 몸으로 숙소에 도착해도, 밥은 못 먹을지언정 술은 절대 잊지 않았다. 7. 여섯 줄로 이뤄진 우리나라 전래 현악기. 친구 김용겸이 수표교 위에서 달빛에 ○○○를 타자 술을 좋아했던 연암과 그의 친구들은 한결같이 술상을 다리 위로 옮겨 흥이 다하도록 놀았다고 한다.
10. 티베트 불교의 수장인 대법왕의 호칭. 소법왕은 판첸라마. 열하에 도착한 조선사신단은 중국 황제로부터 판첸라마를 접견하라고는 말을 듣지만 유학자로서 불교 지도자를 만나 머리 숙이는 것을 꺼려 하다가 황제를 노하게 만든다. 12. 친구 사이의 정. 연암과 그의 친구들에게 ○○은 곧 생명이다. 연암의 삶에서 가장 빛나는 대목은 의기투합하는 벗들과 서로 어울려 뒹굴던 때였다. 13. 하루의 밤을 다섯으로 나눈 셋째 시각. 밤 11시에서 새벽 1시 사이. 박제가가 연암의 그룹에 합류하고 얼마 안 있어 결혼을 했는데 결혼 첫날에도 ○○이 넘도록 친구집을 두루 방문할 정도로 교우가 깊었다. 15. 마르코폴로가 동방을 여행하며 체험한 것을 엮은 글. <열하일기>보다 500년 앞선다. 18. 무리함을 무릅쓰고 하는 먼 거리의 행군. 천신만고 끝에 황제가 있는 오늘날의 북경에 도착했으나 황제는 열하에서 피서를 즐기고 있어 수행단은 다시 열하까지 ○○○을 해야만 했다. 19. 3~4월에 날아드는 철새. 연암의 ‘연’자는 이 새를 뜻한다. [세로 열쇠] 1. 곡류를 발효시켜 증류하여 만든 술. 연암은 술을 무척 좋아하여 이 술을 즐겨 마셨다. 2. 꺼리어 금하거나 피함. 불교 자체를 사교로 취급하던 당시 조선인들에게 불교와 티베트에 관한 이야기는 ○○ 중의 ○○였다. 4. 세도가에 의해 좌우되던 정치를 이르는 말. 정조 즉위에 결정적 역할을 한 홍국영이 ○○○○를 할 당시, 이에 대해 비판적 언사를 삼가지 않았던 연암 친구들로 인해 연암마저도 피신할 수밖에 없었다. 5. 어떤 일의 영향이 먼 데까지 미치는 힘. 비정치적이며 일개 문인에 불과했던 박지원에게 끊임없이 그를 견제하던 세력이 있었던 것은 그의 보이지 않는 정치적 ○○○이 컸음을 의미한다. 6. 한문의 문장체제를 고문으로 회복하자는 주장. 정조가 주도했다. <열하일기>도 주요 표적이었다. 조선 역사에서 ‘반정’은 중종반정, 인조반정, 그리고 이것이다. 8. 문장을 지을 때 여러 번 생각하여 고침. 연암은 중국 연행을 마치고 돌아와 3년여에 걸쳐 <열하일기>를 ○○한다. 9. 연극이나 영화에 잠깐 출연하는 임시고용 배우를 이르는 영어. <열하일기>에는 빛나는 ○○○○들이 많이 등장한다. 장복이와 창대, 정진사, 득룡 등등. 11. 기구를 편리하게 쓰고, 먹을 것과 입을 것을 넉넉하게 하여 백성의 생활을 나아지게 함. 당시 실학파 중에서 박지원, 박제가 등을 북학파 또는 ○○○○학파라고 한다. 12. 인도에서 3000년 만에 한 번씩 꽃이 핀다는 상상의 식물. 박제가는 연암의 시짓기를 ○○○○에 비유했다. 그만큼 연암은 시를 거의 짓지 않았다. 14. 연암이 살던 당시 중국 북경의 이름. 15. 흔들려서 움직임. 연암은 자신은 물론 자식의 영달에도 무심했다. 그의 아들이 과거를 보는 날에도 태연히 짐을 챙겨 연암골로 들어가버렸다. 일체의 마음의 ○○도 없이. 16. 변두리 땅. 세도가 홍국영을 피해 산골로 들어간 연암은 그곳에서 오로지 과거시험밖에 몰랐던 ○○의 젊은이에게 학문하는 즐거움을 가르친다. 17. 백두산에서 시작해 중국과 국경을 이루며 황해로 흘러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강. <열하일기>는 이 강을 건너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20. 무덤 앞에 세우는 비석. 연암은 ○○명의 달인이다. 그가 쓴 ○○명은 심금을 울린다. 그런데 정작 자신의 ○○명은 없다. 인터넷 국어논술일교시닷컴 이사
|
손병목의 독서퍼즐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