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도덕한 카리스마의 매혹
진 리프먼-블루먼 지음. 정명진 옮김. 부글 펴냄. 1만5000원 |
죽어서도 숭배자를 거느린 이승만·박정희
지지자들은 독성리더를 참아낼 뿐 아니라
되레 좋아하고 심지어 만들어내기도 한다
악의의 지지자·언론의 유착도 분석
이승만은 죽을 때까지 대통령을 해먹으려다 4·19혁명으로 쫓겨났다. 박정희는 측근의 손에 피살되어서야 18년 독재의 손을 놓았다. 이들은 죽어서도 숭배자를 거느리고 있다. 또 재벌 기업인은 적은 지분으로 기업군을 좌우하는 것도 이상한데 회삿돈으로 ‘비자금’을 만들어 닦아먹거나 정치권과 짝자꿍 놀아나면서도 권좌에 머문다.
도대체 이런 해괴한 일이 왜 일어나는 걸까. 이를 막을 수는 없을까. <부도덕한 카리스마의 매혹>(부글 펴냄)은 그 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은이는 미 피터 드러커 경영대학원 ‘첨단리더십연구소’ 소장인 진 리프먼-블루먼. 말머리에서 든 것처럼 한국의 예는 없지만 도찐개찐이다.
리더 또는 리더십에 관한 연구는 많다. 회사, 조직 그리고 나라를 좀먹는 ‘독성리더’에 관한 책도 더러 있다. 그러나 지지자들이 독성리더를 참아내고 되레 좋아하여 그런 존재를 만들어내기도 하는 배경을 분석한 책은 희귀하다. 이 책은 그 가운데 하나다.
독성리더들이 제시하는 비전은 거창하고 환상적이다. 이들은 부모의 존재를 대신하여 안전과 확실성을 보장하고, 선택되었거나 특별하다는 느낌을 주며, 공동체의 일원임을 주지시켜 사회적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주며, 그에게 도전할 수 없다는 두려움을 준다. 독성은 마약과 같아서 한번 취하면 자유를 헌납하게 되고 그것에서 헤어나기 무척 힘들다.
사람들이 독성리더에 중독되는 여유
독성리더의 환상을 벗기면 추악하기 이를 데 없다. 이들은 지지자의 인권을 지키지 않는다. 비판을 억누르고 무조건 리더를 따르라고 가르친다. 시스템의 절차를 뒤엎고 범죄적인 행위를 한다. 자기 외에 리더를 기르지 않는다. 네편-내편을 갈라 미워하거나 파괴하도록 설득한다. 때론 희생양을 만들기도 한다. 무능하고 오만하며 아집이 강하고 부패를 무시하거나 조장한다. 독성리더는 또 개인의 약점을 쥐고 흔든다. 악명높은 미 연방수사국(FBI) 후버 국장이 죽자 뒤구린 닉슨은 “제기랄, 그 늙은 개같은 놈”이라고 중얼거렸으면서도 국장(國葬)을 지시했다.
사람들은 독성리더를 잘 모른다. 또 알아도 회피하거나 방관함으로써 이들의 수명을 늘린다. 아스펜연구소가 미 MBA(경영학 석사)학생을 조사한 결과(2001~2002), “자신이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가 회사의 가치와 상출할 때 다른 회사를 찾겠는가”라는 설문에 ‘상당히 높을 것 같다’는 겨우 34%였다. 또 1964년 스물여덟살 피해자가 거듭 칼에 찔리는데 현장에서 38명은 방관자로 지켜보기만 한 사건도 있었다.
|
히틀러는 1차대전의 패전과 수치스런 베르사유조약이라는 국가적 위기, 그 자신의 조작된 카리스마, 최측근인 아이히만의 부도덕한 충성이 결합되어 나타난 괴물이었다. 무엇보다도 유대인, 가톨릭, 노조, 개신교 등 나치의 탄압이 강도를 더해가도 방관했던 ‘다수의 침묵’이 있었기에 존속 가능했다. <한겨레> 자료사진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