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2.01 21:44 수정 : 2005.12.02 14:00

손병목의 독서퍼즐


<삼국지>

[가로 열쇠]

2. 귀가 긴 동물. 유비가 익주를 차지하고 싶었으나 같은 성씨인 유장의 땅이라 어찌하지 못하고 “날쌘 ○○도 세 개의 굴을 파고 산다는데 하물며…”라고 말한다. <사기>의 ‘교토삼굴’에서 유래함.

4. 물을 등지고 치는 진. 조조의 장군 서황은 한나라 한신을 흉내내어 ○○○을 친다. 그러나 상대는 천하 명장 조운, 결국 대패하고 만다.

6. 진수의 정사 <삼국지>가 아닌 오늘날 소설 <삼국지>의 원래 이름. 원말 명초의 소설가 나관중이 지었다고 전해진다.

7. 우리나라 고대 왕국 중의 하나. 북부여의 주몽이 한반도 북쪽과 중국 동북 지방 일대에 자리잡아 세운 나라.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는 부여, ○○○, 마한, 진한, 변한 등의 기록이 있는데, 이는 동방 민족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9. 촉한의 전략가. 유비의 참모. 본명은 제갈량. 위나라 토벌을 떠나기 전 유선에게 바친 출사표는 고금의 명문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12. 몸에 털이 유달리 많은 사람. 오늘날 장비는 ○○로 알려져 있으나 원본 <삼국지>에는 장비의 용모를 ‘제비턱의 호랑이 수염’이라 표현.

14. 모든 문관과 무관들. 모든 관원들. 조조가 동작대를 완성하고 ○○○○의 축하를 받던 날, 유비가 형주를 차지하고 손권의 누이를 부인으로 맞았다는 소식을 듣고 손에 들고 있던 붓을 떨어뜨릴 정도로 놀랐다. 갇혀 있던 용이 바다를 만났다고 말하면서.

17. 내부에서 도움. 특히 아내가 집 안에서 남편을 돕는 경우를 가리킨다. 원래는 내궁의 법도와 왕후의 인덕을 뜻하는 말이었다.

19. 한 구가 다섯 자씩으로 된 한시. 조조가 죽었는데도 삼남인 조식이 오지 않자 장남 조비는 조식을 잡아들여 ‘일곱 발짝을 걸으며 시를 짓는다면 살려 주겠다’고 한다. ‘입만 열면 문장이 될’ 정도로 문재가 뛰어났던 조식의 유명한 시 ‘콩 삶는 콩깍지’는 이렇게 지어졌다.

20. 큰 들보. 유비의 아내 감부인이 죽자 주유는 손권의 누이를 유비와 정략결혼시키려 한다. 유비가 이를 거부하자 "사람에게 아내가 없다면 가옥에 ○○○가 없는 것과 같다"고 말하며 설득한다.

22. 적군에게 심리적 자극을 주어 제 나라의 정치나 군사면에 유리하도록 이끄는 전쟁. 제갈량이 남만을 원정할 때, 마속은 남만 족속이 오늘 항복해도 내일이면 다시 배반할 것이라며 적의 마음을 공격하는 ○○○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세로 열쇠]

1. 관운장이 탔다는 준마의 이름. 온몸이 붉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3. 거룩하게 높여 공경함. 중국인은 관우를 수호신으로 섬긴다. 관우를 소재로한 연극에서는 관우 이름의 ‘우’자도 발음하지 못할 정도로 ○○하고 있다. <삼국지>가 완성된 명나라 때 이미 관우는 신격화되어 있었다.

5. 중국 명대의 장편 무협소설. 노지심, 이규, 무송 등이 등장. 시내암이 쓰고, 소설 <삼국지>의 저자 나관중이 손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6. 초가집을 세 번 찾아간다는 뜻. 삼고지례. 유비가 제갈량을 참모로 모시기 위해 그의 집을 세 번이나 찾아간다.

7. 유서 깊은 연유에서 생긴 말. 읍참마속, 괄목상대 등은 <삼국지>에서 유래한 ○○○○이다.

8. 남남끼리 의리로써 형제관계를 맺음. ‘도원결의’를 통해 유비와 관우, 장비는 ○○○를 맺는다.

10. 불을 질러 공격함. 조조는 손권과 유비의 연합군과 싸웠던 적벽대전에서 황개의 화공으로 인해 대패하여 화북으로 후퇴한다.

11.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 추적이 금언, 명구를 모아 놓은 책. 유비가 죽으면서 후주 유선에게 "사소한 악행이라도 해서는 아니 되고 선행이 작다고 생각하여 아니 하지 말아라"라고 했다. 이는 ○○○○에 나오는 말이다.

13. 용문에 오른다는 뜻으로, 입신출세의 관문을 일컫는 말. 후한의 관리인 이응의 고사로부터 유래.

15. 흰 눈썹이라는 뜻으로 여럿 가운데 가장 뛰어난 것을 가리키는 말. 유비의 참모인 마량의 별명에서 유래.

16. 궁중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 따위의 일을 맡아본 벼슬아치. 후한말에는 ○○의 전횡이 극에 달했다.

18. 이성계가 고려를 무너뜨리고 한양에 도읍을 정하여 519년 간 지속된 시기. <삼국지>의 유비를 중심으로 한 한실에 대한 충성, 유비 관우 장비의 결의 등은 유교적 이념을 국시로 삼았던 ○○○○에 크게 환영을 받았다.

21. 당나라의 시인. 중국 최고 시인으로 ‘시성’이라 불림. <삼국지>에는 제갈량이 죽는 날을 ‘하늘과 땅이 슬픔에 잠긴 듯 달도 빛을 잃었다’고 적고 있다. ○○의 시 ‘출사하여 이기지 못하고 몸이 먼저 가니, 후세 영웅의 눈물로 옷깃 가득 적신다’는 표현 그대로다.

23. 여러 사람의 전기들을 차례로 벌여 적은 것. 진수의 <삼국지>는 위나라를 정통 왕조로 보아 위나라의 역사는 소상히 기록하되 촉과 오에 대해서는 인물 중심의 ○○ 형식으로만 엮은 책이다.

인터넷 국어논술 일교시닷컴 이사

손병목의 독서퍼즐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