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2.28 19:51 수정 : 2019.02.28 21:26

당신의 머리 밖 세상-몰입을 방해하는 시대에 대한 보고서 자본주의의 상업성과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결합하면서 우리가 겪는 집중력 위기 현상의 돌파구를 찾아본다. ‘주의력 공공재’라는 개념을 들어 주의력에 공공재적 속성이 있다고 말한다. 숙련기술 종사자들을 찾아 자율성과 집중력 회복 방안을 모색한다. 매슈 크로퍼드 지음, 노승영 옮김/문학동네·1만6000원.




인간화된 신 ‘인간 혁명가’의 모습을 한 예수를 탐구한 <젤롯>으로 논란을 부른 종교인문학자 레자 아슬란이 이번에는 우리가 신을 어떻게 인간화해 왔는지를 다룬다. 신을 우리의 형상대로 만들었지 그 반대는 아니었다는 것. 인간의 강박적 욕망을 신적인 것에 떠안기는 충동을 중단하고, 범신론적 견해를 더 발전시키자고 호소한다. 강주헌 옮김/세종서적·1만8000원.




폭력과 이슬람 시리아 출신의 시인으로 노벨문학상 후보로 자주 거론되는 아도니스와 후리아 압델루아헤드 파리-디드로 대학 교수의 대담집. 정치화된 이슬람이 종교를 권력을 위한 투쟁수단으로 이용하고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는 통일된 세계관을 강요하며 폭력성을 배태했다고 짚는다. 아도니스는 아랍의 젊은 세대에게 기대를 건다. 은정 펠스너 옮김/한울·2만7000원.




출구 없는 사회-무한한 욕망의 세계사 “경제성장은 현대의 종교다.” 다니엘 코엔 파리고등사범학교 경제학 교수가 성장을 향한 욕망의 세계사를 다룬다. 오늘날 성장을 향한 인간의 열망은 어느 때보다 강한데 사회는 저성장으로 접어들었다. 성장 가능성이 거의 없는 위기에 직면한 인류는 계몽주의와의 진정한 조우를 결심해야 한다고 말한다. 박나리 옮김/글항아리·1만5000원.




개인주의 신화-우리는 왜 개인이 아닌가 연쇄 소포 폭탄 테러범인 테드 카진스키, 이른바 ‘유너바머’로 얘기를 시작해 개인주의 신화에 대한 극단적이고 비뚤어진 신념이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 보여준다. 사회적 힘이 개인의 삶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래서 우리는 왜 개인이 아닌지를 설명한다. 피터 칼레로 지음, 김민수 옮김/황소걸음·1만8800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