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생각] 한 장면
1996년 10월12일 미국 워싱턴 D.C. 공식 명칭은 ‘NAMES 프로젝트 에이즈 메모리얼 퀼트’지만 ‘메모리얼 퀼트’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진 이것은 에이즈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해 여러 나라 사람들이 바느질한 천 조각을 모아 서로 잇대어 만든 거대한 퀼트다. 이 프로젝트는 1985년에 게이 활동가인 클리브 존스가 샌프란시스코에서 시작했다. 그는 동성애자들의 권리를 위해 헌신하다가 목숨을 잃은 하비 밀크와 조지 모스콘을 기리는 연례 행진에 참가한 친구들에게, 에이즈로 죽은 사랑하는 이들의 이름을 카드와 포스터에 적어달라고 부탁했다. 세상을 바꾼 100장의 사진페더리카 구아니에리, 로베르토 모타델리 지음, 박선령 옮김/보랏빛소·2만5000원
전 세계를 뒤흔들어놓은 역사의 현장을 포착한 가치 있는 사진들로 이루어진 책이다. 1869년 수에즈 운하가 개통하던 날, 1903년 라이트형제가 최초로 비행에 성공하던 날, 1969년 인류가 달 표면에 첫 발을 내딛던 날의 기록도 생생하게 만날 수 있다.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과 로버트 카파와 같은 거장부터, 엘리엇 어윗, 유진 스미스 등 위대한 60여 명의 용맹한 보도사진 기자들은 기쁨과 환희의 순간에만 함께한 것이 아니라, 고통과 억압의 참혹한 현장에도 몸을 사리지 않고 뛰어들었다. (출판사 책 소개 중)
|
ⓒEvan Agostini/Liaison
|
|
1908년 2월13일 영국 런던. 여성 참정권 운동의 리더인 에멀린 팽크허스트가 당당한 태도와 눈빛으로 경찰의 호위를 받으면서 걸어가고 있다. 그녀는 1908년 2월13일에 직접 작성한 무수히 많은 청원서 중에서 하나를 영국 의회에 제출하려고 하다가 처음으로 체포되었다. (Mirrorpix)
|
|
로자 파크스와 시민 불복종. 1956년 12월21일 미국 앨라배마주 몽고메리. 로자 파크스는 새로운 시대의 버스에 탑승한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가운데 한명이 되었다. 이 사진은 그가 찍은 가장 유명한 사진으로 남을 것이다. 로자는 전에는 흑인들이 앉지 못하게 금지되었던 첫번째 줄에 앉아 있고 그 뒤에 백인 남자가 앉아 있다. 사진에 등장하는 단 두명의 인물들은 서로 반대방향을 바라보고 있다. 가까이 있기는 하지만 서로 다른 두 세계에 속해 있다. 이 사진은 역사적인 사건을 경축하기 위해 찍은 것이다. (Underwood Archives/Getty Images)
|
|
1980년 12월14일 미국 뉴욕. 12월14일, 오노 요코의 요청으로 곳곳에서 대규모 추모 시위가 열렸다. 뉴욕에서는 25만명이 센트럴 파크에 모여 존에게 경의를 표했다. 이 사진은 슬픔과 경악의 감정을 보여준다. 존 레논을 사랑했던 이들은 “왜?”라고 묻고 있다. 하지만 누구도 답을 해줄 수 없다. (Hulton Archive/Getty Images)
|
|
1989년 6월5일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1989년은 20세기 후반의 전환점이 되는 해였고, 톈안먼 광장 시위는 그해에 벌어진 주요 사건 중 하나였다. 이 시위는 4월 중순에 중국 공산당 서기 후야오방이 사망한 이후 규모가 폭발적으로 늘어났으며, 더 많은 학생과 지식인, 노동자 들이 소위 ‘5차 근대화’를 요구하며 거리로 쏟아져나왔다. ⓒStuart Franklin/Magnum Photos
|
|
팀 버너스리와 인터넷 발명. 1991년 8월6일 스위스 제네바. 웹을 발명한 사람은 1955년 런던에서 태어난 컴퓨터 과학자 팀 버너스리다. (…) 버너스리의 이 초상화는 미국인 예술가 로버트 실버스가 보스턴 MIT에 다니면서 고안한 사진 모자이크 기술을 이용해서 만든 것이다. ⓒRobert Silvers
|
|
샤를리 에브도 공격 후 벌어진 가두 행진. 2015년 1월11일 프랑스 파리. ⓒChristopher Furlong/Getty Images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