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병목의 독서퍼즐
|
<조선왕조실록> [가로 열쇠] 1. 생존하는 부부가 합의에 따라 부부 관계를 끊는 일. 조선시대에는 일부다처가 허용됐지만 첩이 아닌 처는 한 명만 둘 수 있어, 본처가 죽거나 ○○하지 않는 이상 처를 바꿀 수는 없었다. 2. 조선 태조 때부터 철종 때까지 25대 472년 동안의 역사를 편년체로 쓴 책. 국보 제151호. 서울대 규장각에 보관돼 있다. 5. ‘채홍준사’의 준말. 조선 전기 연산군이 미녀와 준마를 궁중에 모아들이기 위해 지방에 파견했던 벼슬아치. ‘채’는 여자, ‘준’은 말을 뜻한다. 7. 자살. 세종대왕의 두 번째 며느리 봉씨는 요즘 말로 레즈비언이었다. 세자빈 자리에서 쫓겨난 봉씨는 아버지에 의해 죽임을 당했고 아버지 역시 ○○했다. 9. 임금의 자리에 있음, 또는 그동안. 조선시대의 왕들 중 21대 영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 기간이 짧거나 단명했다. 단종의 ○○ 기간은 겨우 3년 남짓.
11.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본도. 고려시대 몽골항쟁의 근거지였으며, 조선시대에 병인양요, 신미양요의 격전지이기도 하다. 12. 이전 상태로 되돌림. 원나라가 고려 동북지역을 통치하기 위해 둔 쌍성총관부를 공민왕 때 탈환하는데, 이성계의 아버지 이자춘의 역할이 컸다. 99년 만에 옛 땅을 ○○했다. 13. 예비로 갖추어 두는 병력. 조선시대에 군기감에서 화약을 다루는 기술을 익힌 자는 그 일을 그만 둔 뒤에도 나라가 위급할 때 즉시 동원할 수 있도록 감시를 받았다. 일종의 동원○○○인 셈이다. 14. 호주의 권리 또는 재산을 물려줌. 조선시대의 형벌, 재판, 공노비, 사노비에 관한 규정과 재산 상속에 관한 규정은 경국대전의 ‘형전’에 수록돼 있다. 16. 맏아들. 조선시대 27명의 왕들 중 왕의 ○○으로서 왕위를 계승한 정통 왕은 겨우 7명, 26%에 불과하다. 병약해 요절하거나 뒤이를 자식이 없어 형제가 왕위를 계승하는 경우가 많았다. 17. 조선시대의 기본 법전. 세조 때 편찬을 시작해 성종 때 완성됐다. 그 뒤로도 후속 법전이 계속 만들어졌다. 19. 고려와 조선시대에 임금 앞에서 유교의 경서와 역사를 강론하던 자리. 연기나 재능 따위를 겨루는 ○○과는 뜻이 다른 동음이의어. 성종은 성리학에 심취해 도학적 조예가 깊었으며, ○○을 통해 학자들과 자주 토론하고 학문과 교육을 장려했다. 21. 왕위를 이을 적자손이 없어 왕족 중에서 왕위를 이어받았을 때, 그 임금의 친아버지에게 봉하던 작위. 조선에 3명의 ○○○이 있었는데, 흥선 ○○○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세로 열쇠] 2. 일찍 결혼함. 예종은 열 한 살에 첫아들을 보았다. 그 때 왕비의 나이는 열 여섯. 3. 왕위를 이을 왕자. 태종 이방원의 장남 양녕대군은 사냥과 풍류를 지나치게 탐닉하고 기이한 행동을 일삼에 ○○○ 자격을 박탈당했다. 4. 조선 시대 6개의 중앙 관청인 육조의 하나. 국방을 총괄함. 육조에는 이조, 호조, 예조, ○○, 형조, 공조가 있다. 5. 채집해 기록함. 신라에서 고려까지 역사를 엮은 <동국통감>에는 <삼국사기>에서 누락된 많은 설화와 전설을 ○○하였다. <동국통감>의 고대사 부분만 따로 떼어 <삼국사절요>라고도 한다. 6. 주로 사복 차림으로 범죄를 수사하고 범인을 체포하는 따위의 일을 맡은 경찰관. 광해군은 의녀를 여자 ○○로 활용했다. 조선중기에는 관청의 여자 노비인 다모가 ○○ 노릇을 했다. 8. 상관이 부하가 제출한 의안을 헤아려 승인함. 격무에 시달리며 각종 질환으로 고생한 세종은 즉위 18년에 왕세자에게 서무 ○○권을 넘겨줄 것을 결심한다. 세종 집권 후기는 그의 아들 문종의 섭정기였다. 10. 고려 우왕 14년 요동정벌에 나선 이성계가 압록강 하류 위화도에서 군사를 돌려 돌아온 사건. 이에 반발한 최영은 이성계에게 붙잡혀 유배를 당하고, 이성계는 조선 창업의 기반을 구축한다. 13. 남의 지배 아래 놓임. 태종은 사찰에 ○○된 노비를 공노비로 전환시켰으며 처녀로 비구니가 된 사람은 환속시켰고 연등제, 초파일제 등을 폐지했다. 15. 식품 따위를 저온에서 저장하는 상자 모양의 장치. ○○○가 없었던 조선시대에는 겨울에 언 한강물을 동빙고와 서빙고에 보관해 두고 궁중의 제사 때 사용했다. 당시 얼음은 한여름 최고의 사치품이었다. 17. 역성혁명으로 조선을 세운 이성계와 그 지지자들이 고려의 서울인 개경으로부터 도읍을 한양성으로 옮기고 새로 세운 궁궐. 18. 고려대장경의 다른 이름. 20. 조선 10대 왕. 22. 남을 지배하여 강제로 복종시키는 절대적인 힘. 인터넷 국어논술 ‘일교시닷컴’ 이사
|
손병목의 독서퍼즐 답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