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난지 물재생센터 침전지 모습. 물을 천천히 흘려보내며 부유물질을 가라앉히고 공기를 불어넣어 미생물을 활성화시킨다.(위) 탈수기가 하수 찌꺼기의 물기를 짜내고 있다.(아래)
|
먹고 마시고 싸고 닦고… 1인당 하루 500ℓ의 물을 쓰고 나면 서울서 500만㎥가 하수도로 흘러든다 더러운 물은 ‘물재생센터’에서 살아나고 분뇨는 지렁이를 통해 퇴비로 거듭난다
현장속 현장 오전 7시30분. 이크, 늦었다, 눈을 비비며 서둘러 텔레비전(TV) 뉴스를 튼다. 어제 마시다 남은 밀크티를 싱크대에 쏟아붓고 주전자에 새 물을 가득 채운다. 물이 끓는 사이 신문을 들고 화장실로 직행. 떨어지는 분비물을 확인하고 서둘러 샤워를 한다. 다른 사람들과 다를 것 없는 평범한 아침 풍경. 씻고 마시고 비우는 일로 하루는 시작된다. 그 하루가 저물 때까지도 역시 채움과 비움은 반복된다. 먹고 마시고 싸고 뱉고 닦고. 여기에 매일 들어가는 물은 얼추 450-500ℓ. 우리나라 도시 사람들이 하루 평균 쓰는 물의 양이다. 서울 인구가 1100만명이니 수돗꼭지에서 흘러나온 상수 500만㎥가량이 매일 하수도로 흘러들어간다. 26일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현천동 난지 물재생센터를 찾았다. 우리들이 매일 배출하는 물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직접 보기 위해서였다. 예전에 이곳을 가리키던 ‘하수종말처리장’이라는 이름은 이제 적어도 서울에선 ‘종말’됐다. 지난 11월 서울시는 조례를 개정해 하수종말처리장을 물재생센터로 바꾸었다. 더러운 물을 깨끗이 만들어 다시 한강으로 흘려보내니, ‘종말’ ‘처리’ 보다는 ‘재생’이라는 이름이 더 어울리는 듯도 하다. 난지 물재생센터는 처리할 수 있는 시설용량이 하루 100만㎥로 서울시 하수의 6분의 1 가량을 맡고 있다. 마포·용산·은평·서대문 전역과 종로·중구·성동구와 고양시 일부 지역의 하수가 이곳으로 흘러든다. 처리용량이 가장 큰 곳은 강서구 마곡동의 서남 물재생센터(하루 시설용량 200만㎥). 중랑(171만㎥) 탄천(110만㎥) 물재생센터가 뒤를 잇는다. 서울~부산 23번 달리는 하수로서울 전역엔 총길이 1만157㎞의 하수관로가 촘촘히 깔려 각 건물의 하수를 물재생센터 4곳으로 실어나른다. 서울~부산이 428㎞니까 경부고속도로를 23.7번 달릴 수 있는 거리다. 서울의 하수도 지도를 보면, 새삼 서울이 ‘물의 도시’임을 느끼게 된다. 각지의 하수도는 낮은 곳으로 흐르고 흘러 중랑천·안양천·탄천·홍제천·불광천·성북천 등 샛강으로 모여들고 이는 다시 한강변의 탄천·중랑·서남·난지 등 물재생센터 4곳으로 집합해 재생과정을 거친 뒤 한강으로 흘러간다. 서울의 하수도는 빗물과 오수를 따로 분리해 흘려보내는 ‘분류식 하수’가 14%밖에 되지 않는다. 1980년대 이후 택지개발을 통해서 형성된 지역만 분류식 하수를 쓸 뿐, 86% 대부분이 우수와 오수를 함께 뒤섞어 물재생센터로 보낸다. 여름철 큰비가 내리면 하수 처리 부담이 커지는 이유다. 28만평 터에 들어선 난지 물재생센터는 크게 3부분으로 나뉘었다. 첫째는 하수를 모아서 침전시킨 뒤(침전조) 공기를 불어넣어 미생물을 활성화킴으로써(포기조) 물을 정화시키는 곳이다. 두번째는 침전 과정에서 밑에 가라앉은 찌꺼기(오니)를 농축·소화·탈수·건조·소각시키는 시설이다. 셋째는 분뇨처리시설로서 정화조에서 퍼올린 배설물을 분뇨차량이 싣고 와서 쏟아부으면 이를 처리하는 곳이다. 가장 먼저 방문한 침전지는 물을 천천히 흘려보냄으로써 부유물을 밑에 가라앉히고 윗층에 맑은 물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2002년 월드컵을 맞으면서 물재생센터의 악취가 염려되자 서울시는 침전지 위에 뚜껑을 씌워 냄새가 피어오르지 못하게 막았다. 곳곳에선 냄새 포집관이 설치돼 악취가 빠지도록 했다. 냄새 나오는 구멍을 꼭꼭 막은 데다 영하 10℃의 추위 속에선 시궁창 냄새는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평균 초속 0.3m의 속도로 하수관을 흘러온 물은 물재생센터에 이르면 11시간 동안 200m 남짓한 침전조·포기조를 천천히 흐르며 정화된다.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110~120ppm을 넘기던 물은 8~12ppm 정도로 깨끗해져서 한강으로 되돌려지는 것이다.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