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 자연을 어떻게 볼 것인가
다카기 진자부로 지음. 김원식 옮김. 녹색평론사 펴냄. 1만원 |
자연 난도질하며 자연미 찬양하는 ‘분열’ 성찰
‘로고스와 기계’가 빚은 대립의 자연관 역사 훓으며
인간중심주의 ‘대오각성’ 촉구
깨달음만이 풀벌레의 울음에 공명할 수 있다
땅, 물, 하늘을 마주하는 내 마음의 울림에 가만히 귀기울여보자. 땅에 기는 것들, 하늘에 나는 것들, 물에 헤엄치는 것들, 그리고 풀, 나무, 돌멩이, 벌레들에서 우리는 얼마나 ‘함께울림’(공명)을 느껴볼 수 있을까? 문득 쳐다본 무지개에서 우리는 어떤 충만한 기쁨을 느끼는가, 또는 해돋이를 기다리며 얼마나 가슴 두근거림을 느끼며 사는가?
민중의 편에 선 ‘자립과학’을 하겠다며 교수직을 버리고 시민과학자와 반핵운동가로 살았던 일본인 다카기 진자부로(1938~2000)의 <지금 자연을 어떻게 볼 것인가>(녹색평론사 펴냄)는 우리 자체가 자연인데도 우리에게서 자연을 나누어 점점 더 멀리 밀쳐내며 살아온 인간문명의 ‘분열된 자연관’에 대한 성찰이다. 특히 자연을 지배 대상으로 바라본 서구문명의 자연관에 대한 비판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지은이는 자연 안에서 ‘함께 울림’을 위해 우리 안에 꼭꼭 숨은 자연성을 회복하자고 주장한다. 자연을 지배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이성과 과학이 이룬 문명을 다 버리지도 않으면서 ‘그들과 우리’가 아니라 ‘다함께 우리’로 살아가는 마음을 되찾자는 거다.
그가 통찰하는 ‘분열된 자연관’이란, “한편에서 우리는 자연의 정복자로서 날카로운 칼로 자연을 난도질하면서 동시에 다른 한편에서는 흡사 보상행위인 양 마치 자연미를 찬양하는 것 같은 문화를 발달시켜” 온 ‘두 개의 자연’을 뜻한다. 과학자의 마음과 시인의 마음은 이런 분열의 상징이다.
우리 안에 꼭꼭 숨은 자연성 회복을
자연성의 재발견엔 각성과 감동이 필요하다. 지은이는 고대 그리스 문명부터 현대 과학기술에 이르는 자연관의 역사를 훑은 뒤, 책의 말미에 인용한 김지하의 ‘옥중 에피소드’에서 이런 각성과 감동의 가능성을 이야기한다.
1985년 <신동아>에 실린 김지하의 글이다. “…운동을 하려고 밖에 나가서 담을 보니까, 스카이라인을 따라 틈이 생기지 않도록 평평하게 시멘트를 발라놓았던 것인데, 가만히 보니까 조그만 틈새에 풀이 나 있었습니다. 봄이었기 때문에 그곳에 꽃까지 피었더라구요. 방으로 들어와서는 직업이 글쓰기인지라 그랬는지 모르지만, 자꾸만 눈물이 나와 종일토록 울었습니다. 고등생명인 내가 틈새에 난 풀만도 못하다는 생각도 했죠. 그러고 나서, 나는 절대로 죽지 않는다고 마음에 새겨보기도 했습니다. …봄이 되면 흰 민들래씨가 공중에서 날아와서 쇠창살까지 들어옵니다. 상징적인 얘기지만, 그놈들은 무서워하지도 않고 감방 속으로 들어옵니다.”(이 책 236쪽)
|
자연을 지배와 이용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우리의 자연관은 본디 존재하는 게 아니라 중세·근대를 거치며 강화해온 역사의 산물이다. 이제, 생태 위기 시대에 우리는 자연과 공명하는 삶의 길을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다카기 진자부로는 인간중심의 편견과 차별에서 벗어나 우리 내면의 자연성을 깨닫는 각성이 일어나야 한다고 말한다. 그림은 이미 멸종했거나 멸종 위기에 처한 생물 61종들. <생명의 미래>(에드워드 윌슨, 사이언스북스) 책 표지에서.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