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2.07 11:50 수정 : 2006.02.07 11:50

시민사회단체 연대해 대책위 구성키로

문화연대ㆍ전국민중연대ㆍ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ㆍ민예총 등 62개 시민사회단체들은 7일 오전 10시 서울 중구 남산동 감독협회 시사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화주권을 포기하는 스크린쿼터 축소 방침을 즉각 철회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제2의 IMF'로 규정하고 "FTA 협상 추진도 즉각 중단할 것"도 요구했다.

이들은 회견문에서 "한국 정부는 너무나 무기력하고 무책임하게 미국의 (통상)압력에 굴복했다"면서 "자국민의 이익과 문화주권을 포기한 한국 정부는 과연 누구를 위한 정부인가"라며 따져 물었다.

이들은 또한 "이대로 대책 없는 스크린쿼터 축소 방침이 강행될 경우 미국 거대 영화자본의 대공습은 불을 보듯 뻔한 상황"이라며 "한국 영화를 사랑하고 한미 FTA 협상 추진을 반대하는 시민단체들은 국민과 함께 이를 막아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우리 영화 지키기 한미 FTA 반대 범국민대책위'를 구성해 공동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세부일정으로 블루리본 달기ㆍ촛불문화제ㆍ공청회 등이 마련돼 있다. 촛불문화제는 17일 오후 5시 광화문 네거리에서 진행될 예정이며 공청회는 22~23일께 마련할 방침이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이원재 문화연대 사무처장, 신학림 전국언론노동조합 위원장, 최민희 민언련 사무총장, 스크린쿼터 사수 영화인 대책위원회 정지영 공동위원장, 김용태 민예총 부이사장 등 영화ㆍ문화ㆍ언론계 인사들이 참석했다.

김용태 민예총 부이사장은 "정부는 미국의 압력에 못 이겨 전세계에 문화의 태극기를 휘날리겠다는 문화예술인들을 막고 있다"고 비난한 뒤 "이는 이번 사태를 막지 못한 문화관광부 장관에게 책임이 있다"며 문광부 장관의 사퇴를 요구했다. 최민희 민언련 사무총장은 "우리는 한미 FTA에 편협한 국익론으로 접근하는 일부 언론의 보도태도에 반대하며, 스크린쿼터 투쟁을 영화계의 '집단 이기주의'로 몰아가는 것에 대해서도 경계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론을 거론하며 경제부총리 등 정부 관련자들의 사퇴를 요구했다.


민주노동당 우위연 문화예술위원장은 "정부가 미국에 대해 자주외교를 펼칠 수 없다면 국민이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고, 정광훈 전국민중연대 상임대표는 "우리는 문화를 상품화하는 것을 반대한다"며 우리의 고유문화를 지킬 것을 역설했다.

홍성록 기자 sunglok@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