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2.16 19:11 수정 : 2006.02.16 19:11

문화재청, 2006년 사업계획 광화문 복원위해 도로통제도

오는 7월부터 경복궁 정문인 광화문 발굴 복원을 위해 문 앞 도로 통행이 일부 통제된다. 또 올해부터 2011년까지 60억원을 들여 미군부대를 포함한 군 주둔지 문화유산 종합 조사가 실시되며, 조선왕조 의궤, 해인사 고려대장경의 세계 기록유산 등재 작업도 본궤도에 오른다.

문화재청(청장 유홍준)은 16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어 이런 내용을 담은 올해 주요 사업계획을 발표했다.

계획안을 보면 광화문의 경우 10월 해체를 앞두고 7월부터 원래 광화문 터와 월대 영역에 대한 사전 발굴 조사가 시작된다. 문화재청은 앞서 문 앞 전면 52m까지 뻗어 있는 월대 영역(현 도로 포함)에 둥근 송편 모양의 보호벽을 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차량 흐름이 문 앞 티(T) 자형에서 와이(Y) 자형으로 바뀌게 된다. 유 청장은 “월대 영역 복원은 교통 흐름상 큰 문제가 없다는 서울 경찰청 회신을 받았다”면서 “월대 앞 3 전방에 있던 해태상도 교통 사정을 감안해 월대 바로 앞에 놓는 것으로 바꿨다”고 설명했다.

청은 이와 함께 올해 중 의궤와 해인사 고려대장경(팔만대장경)·경판의 세계 기록유산 등재, 서울 문묘와 서울성곽의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 등재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발굴 분야에서는 지난 12월 미군과 체결한 주한 미군부대 내 문화재 조사 합의서를 근거로 2011년까지 미군 및 국군 부대 주둔지 문화 유적에 대한 체계적 학술조사를 벌인다. 또 발굴 기관 난립에 따른 폐해를 막기 위해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 협회를 설립해 조사 윤리강령 제정, 발굴민원 센터 운영, 소규모 발굴조사 등의 기능을 맡기기로 했으며 조사기관 등록제도 도입한다. 이밖에 △47개 옛 마을 돌담길의 문화재 지정 △무형문화유산전당 건립 △지자체 문화재 보존 관리 역량 평가제 △천연기념물보호연구센터 개관 등도 주요 사업 목록에 올라 있다.

한편 유 청장은 최근 논란을 빚은 덕수궁 석조전의 국립근대미술관 전용 방침과 관련해 “1년 정도의 보수 공사가 끝나면 당분간 국립근대미술관으로 전용하되 서울 소격동 기무사령부 터에 국립현대미술관 분관이 옮겨가면 다시 청이 관리권을 넘겨받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