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릉에 사는 백석예씨는 시속 60㎞ 이상을 달리지 못하는 낡은 ‘도라꾸’를 몰고 나무를 베어내는 산판에서 일을 한다.
|
나라에서 15년된 ‘영업용’은 폐차시키라잖소
그래서 30년된 ‘자가용 도라꾸’ 저거를 샀제
산더미 나무짐 싣고 시속 20km 유유자적
달릴 필요가 어디 있소? 다 저 할 몫 있잖소
산다는 것은 결국 깨달음…절로 끄덕끄덕
이지누의 인물로 세상읽기/백복령 앞길 막은 ‘지에무씨’ 운전수 백석예씨
그이의 자동차는 흔히 ‘지에무씨(GMC)’라고 부르는 낡은 트럭이며 1953년식이다. 지금껏 멀쩡하다면 50년이 넘어서도 씽씽 굴러다니는, 나라 안에서 드물게 보는 오래된 자동차가 되는 셈이다. 그 트럭은, 아니 그냥 ‘도라꾸’라고 하자. 그게 맞는 것 같다. 짜장면을 짜장면이라 부르지 못한 채 자장면이라고 부르기 시작하자 그것의 맛조차 달라져버린 듯 한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나를 두고 일제강점시대의 잔재 용어를 사용한다고 비난할지라도 이 오래 묵은 자동차는 ‘도라꾸’라고 부르는 것이 제격인 듯하다. 그것은 그 도라꾸의 제조회사인 지엠씨를 지에무씨라고 불러야 그 자동차를 제대로 상징하는 것과도 같은 맛이다.
뒤뚱뒤뚱 자기만의 속도로
그 도라꾸를 처음 본 것은 1995년, 강릉의 성산에서 백복령을 넘어 임계 그리고 태백으로 이어지는 국도에서였다. 그는 내 앞에서 도무지 속도를 내지 않을 뿐더러 뒤뚱거리기조차 하며, 오로지 자기만의 속도로 제 갈 길을 가고 있을 뿐이었다. 능히 그를 추월할 수 있었지만 넘어가지 않은 까닭은 그를 뒤따르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나에게 생겨나는 호기심 때문이었다. 도무지 그 한결같은 속도를 유지하는 사람이 누구인지 궁금했던 것이다. 물론 그 호기심은 조금 후에 산산조각 나버리고 말았다. 그 한결같은 속도는 그 도라꾸를 운전하던 칠순의 백석예씨가 그리 한 것이 아니라 자동차의 물리적인 능력이 그것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실망하지 않았다. 그토록 덜컹거리며 낡고 속도조차 거북이걸음 같은 자동차를 애지중지하고 있는 사람 또한 그 못지않게 무던한 사람일 것이기 때문이었다. 이윽고 그를 만난 것은 무턱대고 그를 뒤따라 닭목령을 넘고 어느 곳인지 가늠하기도 힘든 비포장 길을 돌아들어 큰 산판이 벌어진 곳이었다. 훤칠하게 큰 키를 한 그이에게 다짜고짜 말을 건넸다. “할배요, 차 좋네요.”하고 말이다. 그러자 생뚱맞은 얼굴로 “나를 아오?”하는 무뚝뚝한 반응이었다. 그러나 자동차에 대해 무한한 애정을 표하자 이내 그이는 달라졌고 술술 이야기가 풀려 나왔다.
“저게 오십삼년식이래. 첨엔 군용 포차로 나왔던 모양인데 내가 저걸 계속 탄 건 아니고, 전에는 영업용을 탔지 않소. 그런데 팔십년도 유월 달인가 그때, 나라에서 십오년 이상 된 영업용 화물차는 전부 폐차시키라고 했지 않소. 그래 그거를 삼십만원 주고 폐차시키고 이백오십만원 주고 저 걸 산기지. 먹고 살아야 하니 어쩌겠소. 저거는 영업용이 아이라 자가용이거든, 그러이 문제가 없었다 말이오. 오십삼년 식이니까 한 사십삼년 됐나. 저것도 내가 살 때는 일제 도요다 구십 마력짜리 엔진이랐는데 내가 인따나쇼나루 엔진으로 바꽜어. 백칠십 마력이 넘는 걸로 바꽈 놓으이 힘을 쫌 쓰네. 산판에서 왕왕거리고 다니려면 무조건 힘이 좋고 막 가야 되거든. 그래도 저기 보이기는 뭐 저런 기 있나 싶고 데자인도 볼 품 없어서 고물처럼 보이도 저런 기 없으마 안 되는 일이 있지 않겠소. 사람하고 똑같지. 다 저 할 일들이 있지 않소.” 이야기를 마치고 나는 그이의 도라꾸를 태워 달라고 했다. 나무를 싣고 강릉의 성산 목재소에 부려 놓고 다시 올라와야 한다기에 냉큼 차에 올라탔다. 비포장 길에서는 길에 놓인 작은 돌 하나의 충격까지도 고스란히 전해 주는 군데군데 헤진 의자에다가 창문은 아예 붙박이여서 떼는 것과 막아 놓는 기능밖에 없으며 에어컨은 고사하고 그 흔한 라디오조차도 없었다. 자동차 문은 덜컹거릴 때마다 열렸다 닫히기를 반복했지만 그이는 새끼손가락의 손톱만큼도 신경을 쓰지 않았다. 이윽고 나무를 바리바리 실은 도라꾸가 아스팔트로 내려섰지만 시속 20㎞를 넘지 못했다. 생전 달려 볼 일이 있어야지…
|
그이의 ‘도라꾸’는 한국전쟁 당시 포를 끌던 차였다고 하며 조수석에는 기관총 거치대가 아직 남아 있다.
|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