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남 해남에 사는 채근옥은 한국전쟁이 발발한 1950년 4월부터 하루도 거르지 않고 일기를 썼다.
|
1950년 4월부터 하루도 빠짐없는 금전출납부
인민위원회비, 정자 고무신, 빤스 고무줄…
앨범 속 사진보듯 되살아나는 그날의 기억들
사소한 개인사 속에 거대 역사 흐름도 알알이
블로그 편리하지만 ‘펌글’만 채우면 뭐에 쓰랴
이지누의 인물로 세상읽기/57년째 일기 쓰는 해남의 채근옥씨
십여 년 전, 서울에서 전남 해남을 가려면 지레 주눅이 들곤 했다. 너무 먼 탓이었다. 여섯 시간은 기본이었고 쉬엄쉬엄 가다 보면 여덟 시간은 족히 걸리고도 남았으니 만만치 않은 거리였다. 그 때문인가. 전국을 마다 않고 싸돌아 다녔지만 유독 해남이나 진도와 같은 곳들에는 걸음을 자주 나누지 못했었다. 그러던 어느 날, 해남에 가지 않고는 배기지 못할 유혹이 내 앞에 도사리고 있었다.
한사코 일기라고 말하던 그
그 유혹은 50여년이나 묵은 낡아빠진 일기장이었다. 어찌 보면 하찮게 여길 수도 있는 그것 하나 보려고 새벽 4시에 길을 나서서 해남에 닿은 것이 점심 무렵이었었다. 마을 구멍가게에서 마실 것을 사 들고 대뜸 일기장의 주인인 채근옥씨의 집으로 찾아들었다. 그이는 막 점심상을 물릴 참이었지만 하필이면 밥 때에 찾아든 손님인지라 먹던 밥상에 밥과 숟가락만 보태도 되겠느냐고 물어 왔다. 물론 개의치 않았으며 헤픈 웃음을 지으며 밥을 두 그릇이나 뚝딱 해치웠다. 본디 나는 적은 양을 먹지만 시골 어른들 앞에서는 딴 사람처럼 달라진다. 어디를 가든지 어르신들이 차려 주는 밥상은 무조건 두 그릇이다.
그것이 그들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 준다. 적어도 내 경험에 따르면 곧 쌀이 떨어질 지경이라도 자신이 차려 준 밥상을 게 눈 감추듯 먹어치우는 사람들을 보고 타박을 할 어르신들은 아직 이 땅에 없다. 오히려 일면식도 없는 사람이 그렇게 맛나게 밥상을 설거지하듯 먹어치우고 나면 부쩍 가까운 사이가 되고 마니 신기한 일이다. 밥상을 들어 부엌에까지 물리고 난 다음 마루에 앉으니 눈에 차는 것은 낡은 앉은뱅이 책상이었다.
굳이 채근옥씨에게 묻지 않더라도 책상 위에 가지런하게 꽂혀 있는 낡은 공책이 그이가 50년 동안 하루도 거르지 않고 써 온 일기장이라는 것은 단박에 알 수 있었다. 어떤 것은 헤져서 너덜거리고 또 다른 것은 큰 공책이 아까워 반으로 쪼개 놓아서 손바닥만한 것도 있었다. 언제부터 썼느냐고 물으니 한국전쟁이 일어나던 1950년이라고 하며 손에 닿는 대로 서너 권을 집어 펼쳐 보였다. 나는 일기장이라고 하기에 집안의 자질구레한 혹은 일기장의 주인공인 채근옥씨의 사소한 일상들이 씌어 있는 줄로만 알았다. 그러나 그이가 펼쳐 보인 그것은 오히려 가계부라고 하는 것이 옳을 정도였다. 일기라는 것이 담보하고 있는 개인의 사적인 경험에 대한 기록이나 그 일에 대한 반성 혹은 미래에 대한 꿈이나 희망과 같은 것은 그 어디에도 없고 오로지 그날그날의 금전출납에 대한 기록만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이는 나와 의견이 달랐다. 그이는 한사코 그것이 일기라고 말하고 있었는데 특이한, 가령 인민위원회 비용이라든가 여성동맹회비 혹은 정자 고무신, ‘빤쓰’ 고무와 같은 것들이 쓰인 날짜를 내가 짚으면 그이는 그날의 일을 소상하게 말해 주었다. 그것은 마치 비디오와 사진의 차이 같았다. 누구나의 집에 있을 법한 비디오와 가족 앨범의 차이 말이다. 전에도 한 번 쯤 이야기한 것 같지만 그것의 차이는 너무도 극명하다. 가령 회갑잔치를 비디오로 기록해 둔 것과 사진으로만 찍어 둔 것의 차이는 보관하고 있을 때는 모르지만 들춰 볼 때 비로소 드러난다. 오랜만에 온 가족이 모여 그날의 일을 되새기며 비디오를 틀면 누구라 할 것 없이 입을 다물고 만다. 어느 한 순간 떠들어도 잠시 뿐 이내 조용히 화면만 바라보는 것이다. 화면에서 말이 나오기 때문이다. 누가 누구에게 설명할 것도 없이 저 혼자 알아서 모습도 보여주고 말까지도 하니 그것을 보고 있는 내가 할 일이 없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그날 찍은 사진을 모아둔 앨범을 펼치면 서로 맞대고 둘러앉아 이게 누구고 저게 누구고, 이때는 어땠고 저때는 어쨌고 하면서 두런두런 이야기를 시작한다. 아마도 앨범을 말없이 들여다 보기만한 추억을 가진 이는 드물 것이다. 다 기록할 수 없다고 포기하랴
|
|
|
그이가 고무신을 사 준 정자는 큰 딸이며 ‘빤쓰 고무줄’은 누구의 것인지는 기억하지 못한다고 했다.
|
|
|
|
이지누/글쓰는 사진가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