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상 첫 동아시아 공동 역사교과서인 <한·중·일이 함께 쓴 미래를 여는 역사> 발간을 앞두고, 공동교과서 집필위원들과 함께 그 내용과 쟁점을 매주 수요일마다 소개한다.
후원:2005 광복60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 한·중·일 함께쓰는 역사 함께여는 미래 ⑤ 한·중·일 연대투쟁 ‘천황’ 폭살 도모한 가네코 후미코
조선·대만인 변호한 후세 다쓰지
반전운동 벌인 일본군
한-중 손잡은 항일연합전선…
평화위한 저항연대 사건별 첨부
3국교과서 인물 아예 안다뤄 상대의 입장에 서 보는 것. <한중일이 함께 쓰는 미래를 여는 역사>의 지향이다. 역사인식 공유를 위한 이런 특장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대목이 있다. ‘국경을 넘어선 연대투쟁’에 대한 서술이다. <미래를 여는 역사>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역사주제다. 핵심은 한국·중국·일본이 침략에 함께 맞섰던 역사적 장면과 대표적 인물을 되짚는 노력이다. 그 노력은 교과서 곳곳에 녹아 있다. 한국의 3·1 운동과 중국의 5·4 운동을 서술하는 2장에는 일본인 가네코 후미코와 후세 다쓰지를 소개하는 별도의 칼럼이 있다. 가네코는 조선인 박열과 함께 천황을 폭살하려다 사전에 체포돼 감옥에서 자살한 혁명가다. 후세는 이들을 변호하고 재일 조선인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활동한 변호사다. 특히 후세는 일본과 조선, 대만에서 ‘피억압민중’을 위해 평생을 바쳐, 최근 한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을 받기도 했다. <미래를 여는 역사>는 제국주의 침략에 맞서 국경을 넘은 연대와 우정을 나눈 이들의 삶과 행적을 상세히 소개한다.
제3장 침략전쟁과 민중의 피해 편에서는 ‘특공대와 청년학도’, ‘일본병 반전동맹’ 등을 따로 칼럼으로 실었다. 여기서는 제국주의의 실상에 눈뜬 일본군들이 벌인 반전운동을 소개하고 있다. 교과서에 실린 한 특공대원의 유서는 인상 깊다. “자유의 승리는 명백하고 권력주의 국가는 일시적으로 흥했다가도 결국에는 망한다. … 내일은 출격이다. 내일 자유주의자 한 사람이 이 세상에서 사라질 것이다.” 이런 인물은 한·중·일 어느 나라 역사 교과서에도 등장하지 않는다. ‘국경 중심의 일국사관’에 의해 역사로부터 ‘추방된’ 것이다. 조국 일본은 물론, 그들이 헌신한 한국·중국의 민중들로부터 잊혀졌다. 그들을 다시 불러와 ‘평화를 위한 저항연대’의 정신을 되새기는 것은 <미래를 여는 역사>만의 힘이다. 한·중 연대에 대한 서술이 두드러진 것도 이런 맥락이다. <미래를 여는 역사>는 만주국을 설명하는 대목에서 “동북지역의 각 민족은 일본에 대한 노역을 거부하고 공동 투쟁을 전개했다”고 적었다. 중국 공산당이 주도한 ‘항일연군’에 대한 소개도 눈길을 끈다. 민족의 경계를 넘은 연대의 정신과 함께, 그동안 금기시됐던 사회주의 독립운동사의 한 장면을 양지로 끌고 나왔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공동 교과서는 항일연군에 대해 “중국 공산당은 조선족, 만주족, 몽골족 등 동북민중과 손을 잡고 전투를 벌였다”고 적었다. 일본 후소사판 역사교과서는 물론 도쿄서적판 역사교과서에도 ‘저항의 연대’에 대한 서술은 아예 없다. 중국의 초급중학교용 <중국력사>, 고급중학교용 <중국근대현대사>도 마찬가지다. 중국공산당의 항일투쟁에 대한 서술로 일관하고 있을 뿐, 동북지역 등에서 펼쳐진 한국과의 연합전선에 대해서도 언급이 없다. 그나마 한국의 중·고등학생용 <국사> 교과서는 당시 중국과의 연대 투쟁을 일부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만주지역 독립군이 중국군과 연대했고 윤봉길의 의거가 중국의 협력에 중요한 계기가 됐다는 식의 짧은 서술에 그치고 있다. <미래를 여는 역사>는 저항의 연대에 대한 한·중·일의 냉대에 다시 한번 저항한다. 침략에 맞선 시민연대의 역사는 지금부터가 시작이라는 게 이 교과서의 메시지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