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이기적인 남편 때문에 이혼을 생각 중인 어떤 주부에게 다음과 같은 충고를 해준 적이 있습니다. 남편을 위해 식사를 준비할 때 부처님에게 공양 올린다고생각하고, 집에 들어올 적에는 부처님이 오신다고 생각하라고. 요즘 걸핏하면 이혼하는데 마음을 편한 쪽으로 먹으면 얼마든지 삶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 참고, 견딜 줄도 알아야하는 겁니다." 스님은 "(봄을 맞아) 여기저기 꽃이 피어나는 것을 보고 나 자신은 어떤 꽃을피우고 있는지 되돌아보자. 꽃을 피우지 않는 나무는 살아있는 나무가 아니다"라며대중에게 진정한 자아의 실현을 통해 가정의 행복을 찾아나갈 것을 충고했다. 2003년 12월 길상사 회주를 내놓고 무소유의 삶으로 돌아간 법정 스님은 매년봄, 가을 두 차례 길상사에서 대중법회를 열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
법정스님 “집안에 꽃을 피우십시오” |
"봄이 와서 꽃이 피는 것이 아니라 꽃이 피니까 봄인 것입니다. 꽃이 피지 않으면 봄이라고 할 수 없죠. 세상일도 마찬가지여서 꽃을 피우면서 사는 집안이 복 받은 집입니다. 여기저기 꽃이 피어나는 것을 보고 자신은 어떤 꽃을 피우고 있는지 되돌아 보십시오."
전 길상사 회주 법정(法頂ㆍ73) 스님이 17일 오전 서울 성북구 성북동 길상사(주지 덕조 스님)에서 열린 봄 정기법회 법문을 통해 세상을 향해 '가정의 화목'을 화두로 내놓았다.
1천여 신도가 몰린 이날 법문에서 스님은 "가정이란 가족이 한데 모여서 오순도순 살아가는 곳, 지치면 돌아가 쉴 수 있는 곳, 어느 때든 반갑게 맞아주는 곳인데,최근 가정이 심하게 해체되고 있다"면서 "가정이 해체되고 있다는 것은 사회가 잘못되어가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요즘 사람들은 태어날 때도 자기 집에서 태어나지 않고 돌, 생일, 환갑 잔치등도 마찬가지입니다. 심지어 죽음까지도 집 밖에서 맞이합니다. 집의 존재 의미가퇴색되고 있는 거지요. 또 내집 마련을 위해 평생을 노력하지만 따뜻한 가족을 만드는 데는 너무 소홀합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난 원인을 사람들이 자기 본위로 살아가기 때문이라고 진단한스님은 "마음 먹기에 따라 얼마든지 삶이 달라진다"고 강조한다.
"예전에 이기적인 남편 때문에 이혼을 생각 중인 어떤 주부에게 다음과 같은 충고를 해준 적이 있습니다. 남편을 위해 식사를 준비할 때 부처님에게 공양 올린다고생각하고, 집에 들어올 적에는 부처님이 오신다고 생각하라고. 요즘 걸핏하면 이혼하는데 마음을 편한 쪽으로 먹으면 얼마든지 삶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 참고, 견딜 줄도 알아야하는 겁니다." 스님은 "(봄을 맞아) 여기저기 꽃이 피어나는 것을 보고 나 자신은 어떤 꽃을피우고 있는지 되돌아보자. 꽃을 피우지 않는 나무는 살아있는 나무가 아니다"라며대중에게 진정한 자아의 실현을 통해 가정의 행복을 찾아나갈 것을 충고했다. 2003년 12월 길상사 회주를 내놓고 무소유의 삶으로 돌아간 법정 스님은 매년봄, 가을 두 차례 길상사에서 대중법회를 열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예전에 이기적인 남편 때문에 이혼을 생각 중인 어떤 주부에게 다음과 같은 충고를 해준 적이 있습니다. 남편을 위해 식사를 준비할 때 부처님에게 공양 올린다고생각하고, 집에 들어올 적에는 부처님이 오신다고 생각하라고. 요즘 걸핏하면 이혼하는데 마음을 편한 쪽으로 먹으면 얼마든지 삶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 참고, 견딜 줄도 알아야하는 겁니다." 스님은 "(봄을 맞아) 여기저기 꽃이 피어나는 것을 보고 나 자신은 어떤 꽃을피우고 있는지 되돌아보자. 꽃을 피우지 않는 나무는 살아있는 나무가 아니다"라며대중에게 진정한 자아의 실현을 통해 가정의 행복을 찾아나갈 것을 충고했다. 2003년 12월 길상사 회주를 내놓고 무소유의 삶으로 돌아간 법정 스님은 매년봄, 가을 두 차례 길상사에서 대중법회를 열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