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 안동시 저전리에서 확인된 청동기시대 인공 연못 발굴 항공사진. 동양대 박물관 제공.
|
2600여년 전 선조들이 논밭에 물을 대려고 쌓은 것으로 보이는 인공 저수지 터가 경북 안동시 서후면 저전리에서 발견됐다. 경북 영주 동양대 박물관(관장 이한상)은 지난 3월부터 저전리 일대 국도 확장공사 구간을 발굴조사한 결과 기원전 6~7세기께로 추정되는 인공 저수지터와 저습지 유적을 확인했다고 31일 밝혔다. 국내에서 고대 농경용 인공 저수지로는 전북 김제 벽골제와 충북 제천 의림지 등이 알려져 있는데, 시기는 대개 기원후 3~4세기다. 따라서 저전리 유적은 국내에서 가장 시기가 오래된 인공 저수지 터로 추정된다. 박물관 쪽 자료를 보면, 저수지 터는 길이가 남북 약 50m, 동서 15m, 최대 깊이는 2m다. 골짝지대 사이에 직사각형으로 구덩이를 파서 골짝물을 고이게 만들었다. 저수지 터 둘레에는 너비 약 3m 정도의 입수구, 바깥 수로와 이어진 너비 2m 가량의 출수구 흔적이 있으며, 저수지 터와 출수구 사이에는 나무 부재로 만든 물막음 시설인 ‘보’의 흔적도 발견됐다. 또 바닥에서는 청동기 전기의 특징을 보이는 민무늬토기와 잔구멍 뚫린 공렬문 토기, 석기 조각 들이 출토되었다. 아직 논밭 등의 경작지 터는 나오지 않았으나 저수지 터의 성격으로 미뤄 아래쪽 구릉에 고대 논 유적이 있을 것으로 조사단은 보고 있다. 이 관장은 “선조들이 기원전 7~8세기부터 대규모 노동력을 동원한 인공 저수지를 쌓아 체계적인 수리시설을 운영해 왔다는 유력한 증거”라며 “국내 농경문화의 기원과 전개 양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유적”이라고 평가했다. 현재 국내에서 발견된 청동기 시대 관개시설로는 울산 옥현 유적과 밀양 금천리 유적 등에서 나온 인공 수로가 학계에 보고된 바 있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