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5.06.21 18:13
수정 : 2005.06.21 18:13
|
송현동 7호분에서 최근 출토된 화살묶음. 화살촉과 살대가 결합된 50여개 이상의 화살을 끈으로 묶었다.
|
1500여 년 전 선조들이 전투·사냥 때 썼던 화살 묶음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견됐다.
국립 창원문화재연구소(소장 지병목)는 지난해 4월부터 조사 중인 경남 창녕군 송현동 가야 고분군(사적 81호) 7호분에서 쇠 화살촉을 나무 살대에 박은 6세기 초 화살 50여개의 묶음을 찾아냈다고 21일 밝혔다. 이들 화살은 길이가 80cm 정도로 석실 안 목관 옆 진흙바닥에서 끈으로 묶인 채 묻혀 있었다.
촉이 대와 묶인, 온전한 형태의 화살이 나온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전에 경주 월성 해자와 경남 양산 부부총에서 촉과 대가 묶인 화살이 나온 바 있으나 대가 부러지거나 촉이 닳은 상태였다. 지 소장은 “화살대는 대나무, 화살을 묶은 끈은 자작나무 껍질을 쓴 것으로 추정된다”며 “고대 화살의 제원과 발사 양상 등 무기사를 연구하는 구체적 단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고대 일본에서 유행한 구유 모양 목관과 제례 유물들이 출토되었던 7호분은 올해 발굴에서도 화살묶음 외에 말안장(안교), 세잎무늬 둥근고리 큰칼(삼엽문 환두대도), 방망이 모양 목기류, 장신구붙이 등이 추가로 출토되어 지금까지 300점 넘는 유물들이 나왔다. 창녕/글·사진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