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7.12 17:54 수정 : 2005.07.13 13:36

“긍구당 소장본 이용준이 훔쳐 팔아” 박영진씨 주장

“국보 제70호 훈민정음 해례본(간송미술관 소장)은 장물이다.”

안동 출신으로 현재 부산 동래여중 교사로 재직하는 박영진(41)씨는 8일 발간된 한글학회 기관지인 <한글새소식> 제395호에 기고한 ‘훈민정음 해례본의 발견 경위에 대한 재고’라는 글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이 글에서 박 교사는 해례본이 세간에 알려진 것처럼 1940년 8월 경북 안동군 와룡면 주하리 진성 이씨 이한걸(1880~1951) 집에서 발견된 세전가보가 아니라 실제는 같은 안동지역 광산 김씨 종택인 긍구당(肯構堂) 소장본을 이한걸씨의 셋째아들 이용준(1916~?·월북)이 훔쳐 간송 전형필에게 팔아먹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훈민정음 해례본은 한글 자모 창제의 원리를 전하는 귀중한 문건이다.

이런 주장의 근거로 박교사는 1991년 10월 광산 김씨 종손 김대중(75)씨가 박 교사한테 보낸 편지를 들었다. 박교사는 김대중씨의 셋째아들과 고교동창으로 몇차례 긍구당을 방문했다.

편지 내용을 보면, 해례본을 빼돌린 이용준은 김씨한테 고모부가 된다. 김씨의 할아버지 김응수(1880~1957)는 사위인 이용준을 매우 아껴, 사위가 긍구당에 올 때마다 마음껏 책방을 이용하게 했다. 이용준은 이를 기회로 <매월당집>과 함께 <훈민정음 해례본>을 빼돌렸다. 당시 이용준은 성균관대 전신인 경학원에서 수학하며, 국문학 연구자인 김태준에게서 강의를 듣고 있었다. 이에 이용준은 긍구당에서 빼낸 <매월당집>과 <훈민정음 해례본>을 김태준과 짜고서 전형필에게 팔아넘겼다는 것이다.

김씨는 편지에서 열살 무렵 할아버지가 사위 이용준한테 “너 이놈! 공부한 선비가 책을 훔치다니 다시는 내 집에 발걸음을 하지 말아라!”며 꾸중하는 것을 똑똑히 보았다고 증언했다.

박 교사는 간송미술관 소장 해례본에 서문과 발문 부분이 없는 것은 이용준이 긍구당 소유임을 숨기기 위해 장서인이 찍힌 부분을 뜯어낸 탓이라고 주장했다. 김대중씨는 <한겨레>와의 전화통화에서 “서문을 이용준씨가 다시 써서 붙였다는 데 긍구당에 남아있는 그의 필적과 대조해 보면 금방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씨는 또 이용준씨가 장인한테 <매월당집>을 모르게 가져가서 큰 죄를 지었다면서 사죄하는 내용의 41년 12월31일(음력) 편지도 남아있다면서 <매월당집>과 함께 해례본을 가져갔으니 그 편지도 방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렇게 뒤늦게 사실을 밝히는 데 대해 김씨는 “보상을 바라서가 아니라 억울해서”라면서 자신이 살아있을 때 사실이 바로잡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최완수 간송미술관장은 “세세한 사정을 아는 김씨 집안에서 그렇게 주장한다면 아마도 사실일 것”이라면서 굳이 필적을 대조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