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3일 새벽 백두산에 올라 민족의 하나됨을 염원하는 통일문학 행사를 연 남북 문학인들이 함께 어울려 기쁨과 감격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남쪽에서 고은 신경림 백낙청 황석영씨 등 100여 명, 북쪽에서 홍석중 오영재 남대현 김병훈씨 등 20여 명과 재외동포 작가들이 참석했다. 〈문화방송〉 화면 촬영
|
“삼천리 강산 모든 풀잎 꽃잎 이슬들…어찌 하나 아니겠느냐…”
남북 작가대회 행사 성황 통일문학의 신새벽을 열어젖히는 남·북 문인들의 함성이 백두산 천지 위로 메아리쳤다. 지난 23일 새벽 5시께 백두산 장군봉 아래 개활지에 남과 북, 재외동포 문인 등 150여 명이 모였다. ‘6·15 공동선언 실천을 위한 민족작가대회’(이하 남북작가대회)의 나흘째 행사인 ‘통일문학의 새벽’에 참여하기 위해서다. 북쪽 시인 리호근씨와 남쪽 소설가 은희경씨의 공동 사회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남쪽에서 고은 신경림 백낙청 황석영씨 등 100여 명, 북쪽에서 홍석중 오영재 남대현 김병훈씨 등 20여 명과 재미동포 작가 이언호씨와 일본의 김학렬 김정수씨 등이 참가했다. 20일 평양에서 열린 남북작가대회 본대회에서 채택된 공동선언문을 낭독하는 것으로 문을 연 행사에서, 먼저 고은 시인이 지난밤 백두산 삼지연 베개봉 호텔에서 쓴 시 ‘다시 백두산에서’를 낭독했다. “해 뜬다/ 이 삼천리 강산 모든 풀잎들 꽃잎 이슬들/ 아침햇발 한 살 한 살에 눈 뜬다/ 몰싸리꽃 곰취꽃/ 우정금꽃/ 기뻐라// 1백년 전 하나였던 것/ 1백50년 전 하나였던 것/ 아니 3백년 전/ 어느 먹밤 터무니에도/ 오로지 하나였던 것// 1백년 후/ 어찌 하나 아니겠느냐는 것//….” 이어 소설 〈황진이〉의 북쪽 작가 홍석중씨가 마이크 앞에 섰다. 홍씨는 “사람이 마음을 모으면 하늘을 이긴다. 우리는 6·15 공동선언으로 모아졌다. 조국 통일이 이루어지는 날 백두산에 올라 조국통일 만세라는 말을 다시 외칠 것이다”라고 통일을 향한 강력한 의지를 밝혔다. “마음모아 혈맥도 잇자” 150여명 한목소리
남 이기형·북 오영재 시인 ‘사모곡’ 눈물바람
이날 행사에선 북쪽 시인 박세옥씨와 남쪽 소설가 송기숙씨, 일본에서 온 동포 평론가 김학렬씨, 그리고 북쪽의 젊은 여성 시인 박경심씨 등이 나와 각자의 시를 읽거나 소감을 밝혔다. 남대현씨는 “지맥은 하나지만 혈맥은 이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우리는 오늘 세상에서 가장 훌륭한 때와 장소를 골랐다. 이제 우리는 마음 하나로 합치는 것만 남았다. 우리가 마음을 모으면 겨레가 하나로 뭉친다”고 강조했다. 조선작가동맹 김병훈 위원장의 연설로 행사를 마감한 참가자들은 “백두산 만세” “민족문학 만세” “조국통일 만세”를 외치며 산회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대회 참가자 중 최고령자인 남쪽의 이기형(89) 시인이 월북 시인 오영재씨와 부둥켜안고 눈물바람을 해 눈길을 끌었다. 천지에 도착하면서부터 울음을 보인 이씨는 오씨를 만나자 “어머니를 북에 두고 내려온 나와 어머니를 남에 두고 올라온 당신은 같은 처지”라며 끌어안았고, 이에 오씨 역시 눈물로 답했다. 한편, 21일 오후 ‘통일문학의 새벽’ 행사를 사전 연습하는 자리에 참석한 북쪽 작가 홍석중씨가 “우리의 이번 만남을 가장 좋아하는 분이 바로 우리 장군님” “하루에도 몇 번씩 행사가 잘 진행되는지 물어보신다”며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남북작가대회에 각별한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고 전해 이목을 끌었다. 평양 본대회에 이어 백두산 행사를 마친 남북작가대회 참가자들은 이날 오후 묘향산으로 장소를 옮겨 ‘민족문학의 밤’ 행사를 치른 뒤 24일 평양에서 폐막 연회를 열었다. 남쪽 대표단은 25일 오후 고려항공 전세기 편으로 인천으로 돌아온다. 평양·백두산/ 공동취재단
|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