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인 고은 (사진=연합)
|
고은 시인 ‘노벨문학상’ 유력? 로이터, 도박사 예측 보도…황석영씨도 경쟁 합류
2000년 10월 13일(현지시각) 김대중 대통령이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발표되었을 때 고은 시인은 <한겨레>에 ‘진정 축하합니다’라는 제목의 특별기고문을 냈다. 이 글에서 고은 시인은 김대중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한다면서 “1920년대 인도 시인 타고르가 문학상을 받음으로써 식민지 인도에 강한 용기를 안겨 준 것 이상으로 한국에서는 문학상보다 평화상이 먼저 찾아와야 한다는 사실”을 특별히 강조해서 눈길을 끌었다. 노벨평화상에 관해 쓰는 자리에서 굳이 문학상을 언급한 까닭은 무엇이었을까. 짓궂은 이들은 이 대목을 ‘평화상 다음에는 문학상’이라 새겨 들었고, 한 발 더 나아가 ‘그 문학상의 주인공은 나 고은’이라는 속내가 숨어 있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표하는 이들도 있었다. 그도 그럴 만한 것이 그 무렵을 전후해서 고은 시인은 해외 언론에서도 노벨문학상 후보군 가운데 한 명으로 거론되기 시작했던 것. 그리고 그렇게 되기까지는 고은 시인 자신의 정력적인 ‘프로모션’이 한 몫 했다는 것이 문단의 중평이다. 민주화운동의 극성기라 할 80년대까지 민주쟁취 국민운동본부 상임공동대표와 같은 재야 활동, 또는 민족예술인총연합 의장과 민족문학작가회의 회장과 같은 문화예술계 활동에 주력했던 고은 시인은 1990년대 들어서부터 부쩍 자주 나라 밖 걸음을 하기 시작했다. 1년의 반을 국외에서 보낸다는 말까지 돌았다. 미국 하버드대와 버클리대에서 동시에 초빙교수 활동을 하면서 미 대륙의 동쪽과 서쪽을 오갔으며, 유엔총회장에서 축시를 낭송하는가 하면 세계시아카데미 회원으로서 세계 각지에서 열리는 시낭송 축제에 단골 손님으로 참여했다. 고은 시인 열정적 대외활동 “1년 절반은 나라 밖에서…” 열정적 시 낭송 위해 낭송 앞서 “독주 한 잔” 고은 시인의 열정적인 시 낭송은 국내에서도 잘 알려진 편이고 2000년 6월 평양의 남북 정상회담 연회장에서도 그 ‘진가’를 발휘한 바 있다. 고 시인은 시낭송이나 연설을 하기 위해 무대에 오르기 전에 독주나 포도주 한두 잔을 단숨에 들이키는 것으로 소문이 나 있는데, 드라마틱한 어조와 몸짓으로 청중을 사로잡는 특유의 힘은 아마도 그 술기운에서 나오는 것이 아닌가 싶다. 외국의 동료 문인들과 청중들에게 고은 시인의 낭송과 연설은, 비록 해독이 되지는 않아도, 대단히 문학적으로 받아들여질 법하다.국내에서는 ‘지나친’ 다작에다 대표작이 없다는 판단도 겹쳐서 오히려 인색한 평을 듣는 감도 있지만, 국제 무대에서 고은 시인의 시에 대한 평가는 높은 편이다. 동양적 선(禪)을 바탕에 깐 시풍이 매력적인데다, 민주화운동 투쟁 경력이라는 문학 외적인 배경 역시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 같다. ‘고은 노벨문학상’ 순항에 ‘경쟁자’ 황석영 등장? 어쨌든 한국 최초의 노벨문학상을 향해서 ‘순항’하는 듯싶었던 고은 시인의 행로에 뜻밖의 ‘복병’이 등장했다. 바로 소설가 황석영씨다. 황석영씨는 당국의 허락을 받지 않고 북한을 다녀온 죄로 오랫동안 해외를 떠돌다가 1993년 귀국했으며, 귀국 즉시 투옥되었다가 1998년에 석방되었다. 89년 방북 이후 10년 가까이 작품을 쓰지 못했던 황석영씨는 석방 직후부터 <오래된 정원> <손님> <심청> 등을 숨가쁘게 쏟아내며 제2의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다. 사실주의의 진보적 핵심을 견지하면서도 다양한 형식 실험을 병행하는 그의 소설들은 국내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을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잇따라 번역 소개되고 있다. 그에 따라 황석영씨의 해외 나들이 또한 고은 시인 못지않게 잦아졌는데, 지금은 아예 생활 터전을 런던으로 옮겨 세계 무대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고 있는 참이다. 이번 가을에는 독일의 유력 출판사 데테파우(dtv)에서 그의 소설 두 편이 한꺼번에 번역 출간될 예정이기도 하다. 방북-유랑-투옥…황씨 작품 해외호평 황씨, 잦은 해외출장 이어 런던에 ‘터전’ 고은 시인과 황석영씨는 고씨가 10년 연상의 ‘선배’로서 70년대 이후의 민주화투쟁 과정에서부터 동지적인 관계를 쌓아 온 사이지만, 최근에는 노벨문학상을 둘러싸고 미묘한 경쟁의식과 신경전의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사석에서 마주친 두 사람이 서로의 해외 행보를 두고 ‘뼈 있는’ 농담을 주고받는 모습이 목격되기도 했다.
|
소설가 황석영 (사진=연합)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