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하늘가까운바다 <42>
|
그 마음에 거짓이 없다면, 작품은 바다를 건너 홍이 손에도 닿을 거라 생각해요 쓰지 히토나리 42 그 무렵, 나는 오로지 원고지에 매달려 소설을 썼다. 젊은이들의 집단 자살이 끊이지 않는 병든 시대의 슬픔을 짊어지고, 그 원인이나 이유를 찾으려 하지도 않는 어른들의 변함없는 무책임함을 곁눈으로 바라보며 내가 어떤 시대를 살고 있으며, 어떤 말을 가지고, 앞으로 어떻게 나가야 할지를 작품 속에 녹아내려 했다. 이미 학생이 아니었으나 제대로 된 직업도 없었다. 사회적인 책임으로부터도 멀리 떨어져 내가 누구인지도 모르는 채, 그저 묵묵히 소설을 향해 걸었던 나. 퇴고를 거듭한 작품이 어느 정도의 가치와 의미가 있으며 어떤 역할을 하게 될지도 모르는 채 중력도 인력도 없는 우주 한가운데에서 나는 소설을 썼다. 또한 그러한 내가 도대체 누구인지, 그 대답을 찾기 위해 나는 불안한 마음을 억누르고 돌진할 수밖에 없었다. 홍이와 헤어진 후, 나는 글을 씀으로써 내 자신을 매어둘 수 있었다. 직업이 없다는 것은 커다란 수치였다. 친구들의 호출에도 응하지 않았으며, 그때까지의 모든 관계도 끊었다. 그리고 오로지 홍이와 내 자신의 이야기를 써 갔다. 그런 내게 아버지는 아무런 불평도 하지 않았다. 다만 나와 같은 길은 가지 마라, 하고 마치 당신에게 타이르듯 중얼거렸을 뿐이다. “그렇지만 참으로 유감스럽구나. 난 홍이가 아주 맘에 들었었는데. 너 같은 바보 아들론 역시 부족했단 말인가…. 네 어머니가 집을 나간 다음에는 나도 너처럼 아무것도 할 수가 없었지. 그런 나쁜 점도 넌 날 닮았구나.” 한번은 어머니에게 오케스트라의 매니지먼트 회사에서 사람을 찾고 있는데 관심이 있냐는 편지가 왔었다. 권유는 거절했지만, 이상하게도 홍이가 떠난 다음에는 어머니를 미워하는 일도 없어졌다. 카페 안나의 주인이 길에서 날 불러 세웠을 때는 가슴이 몹시도 삐걱거렸다. “두 사람 결혼하는 거 아니었나? 홍이가 아무 말 없이 본국으로 가 버렸다지만 혹시 어디선가 다시 만나게 되면 또 커피 마시러 오라고 전해 주게. 언제든지 대환영이라고.” 나는 작게 고개를 끄덕이고 그를 지나쳤다. 홍이와 헤어지고 나서 카페 안나로 발길을 옮기는 일은 더 이상 없었다. 교토 사가노의 사에키 시즈코 집에는 해마다 몇 번이나 찾아갔다. 시즈코는 마치 부모처럼 내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주었다. 때문에 홍이와의 이별이 견디기 힘들어질 때면 나는 교토로 향했다. 아이가 없는 시즈코에게 해마다 몇 차례씩 찾아오는 나는 마치 아들과 같은 존재였다. “준고, 넌 정말 바보구나. 그렇게 홍이를 잊지 못하면서 어째서 쫓아가지 않는 거니?” 나는 홍이의 한국 주소를 몰랐다. 사에키 시즈코는 홍이 아버지의 회사 전화번호를 알고 있었다. “가르쳐 줄까?” 그녀는 내게 번호를 가르쳐 주고 싶어 했지만 나는 거절했다. “홍이가 떠날 때 붙잡지도 못한 제가 이제 와서 뻔뻔스럽게 전화 같은 걸 할 수는 없어요.” “그럼 도대체 어떻게 그 마음을 전할 생각이니?” 난 소설을 쓰고 있어요, 하고 말했다. 사에키 시즈코가 웃음을 터뜨렸다. “만약 그 소설이 한국에서 번역되어 나오고, 또 우연히 그 책이 홍이 손에 들어가게 된다면 날 기억해 줄 거라 믿어요.” 그런 말을 하고도 나는 본명이 아닌 필명으로 소설을 썼다. 그런 자신의 마음을 설명하기란 쉽지 않다. 어딘가 자신이 없었을 것이다. 나는 늘 끝에 가서 자신을 잃고 만다. 본명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도 있었다. 두 사람의 인생을 그대로 덧그린 듯한 작품이었기 때문이다. “어쩜 그렇게도 태평한지. 그렇지만 준고의 그런 점을 나는 이해할 수 있지. 넌 간단하게 모든 것이 처리되는 게 싫은 거지. 그래서 말을 믿지도 않으면서 소설을 쓰는 거고.” 그러던 중 나는 여름내 수주간 정도지만 사에키 시즈코의 가게에서 일하며 여름을 보내게 되었다. 사람들이 몰려드는 관광철에 잠시 고향에 돌아온 아들 같은 얼굴을 하고 가게 일을 도왔다. “저기, 홍이가 사는 곳을 알 수 있을 것 같은데 어떻게 할래?” 소설이 일본에서 발매된 직후, 사에키 시즈코가 내게 말했다. 그녀가 내게 전하려는 종이쪽지에는 홍이 아버지의 주소가 적혀 있는 것 같았다. 나는 받지 않았다. “삼 년 동안 전 오로지 작품에 매달렸어요. 지금 겨우 출판됐기 때문에 어떻게 될지는 지켜볼 수밖에 없지만, 그래도 전 이 작품이 계기가 돼서 홍이와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해요. 삼 년 동안 전 매일 쉬지 않고 홍이에 대한 생각을 키워왔어요. 그게 이 소설이구요. 그 마음에 거짓이 없다면, 작품은 바다를 건너 홍이 손에도 닿을 거라 생각해요. 거기에 모든 걸 걸어 보고 싶구요.” 시즈코는 작게 고개를 끄덕이고 주소가 적힌 종이쪽지를 다시 주머니에 넣었다. “언제든지 필요하다 싶을 땐 말을 해. 내가 할 수 있는 일이라면 뭐든지 할게.” 어머니 같은 한마디에 나는 눈물을 꾹 눌러 참아야만 했다. 번역 김훈아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