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5.21 13:59 수정 : 2018.05.21 14:30

국도 35호선 공사 현장. 한국고고학회 제공

한국고고학회 등 5개 학회 규탄성명 ‘경악 금치 못해’
관련 공무원 중징계, 현장조사 등 요구
4년전 지표조사로 유물분포 알렸는데도
시굴조사 않고, 공사 강행해 유적 파괴

국도 35호선 공사 현장. 한국고고학회 제공
최근 부산지방국토관리청 영주국토관리사무소가 경북 안동~봉화 사이의 국도 35호선 개량공사 현장에서 문화재 조사를 하지 않고 공사를 강행한 사실이 드러나자 고고학계가 21일 규탄성명을 냈다. 한국고고학회와 영남·호남·호서·중부 등 4개 지역 고고학회는 성명에서 “국도 35호선 공사구간의 유물 산포지(여기저기 흩어진 지역) 23곳 중 11곳에서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소식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며 파괴현황 조사 실시와 관계 공무원 중징계, 불법행위 고발 등을 요구했다.

국도 35호선 구간은 4년 전 전문기관의 지표조사 당시 삼국시대 토기 등이 확인되면서 마을터 등의 유적, 유물들이 분포할 가능성이 크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문화재청이 공사 전에 시굴조사가 필요하다는 공문을 부산지방국토관리청에 보냈으나 관리청은 무시하고 공사를 벌여 유물층 상당수를 파괴한 사실이 지역 언론 등을 통해 드러난 바 있다. 학회는 성명을 통해 “공사 시행과정에서 문화재 존재를 알고도 파괴를 묵인했다면 명백한 범죄행위다. 설령 인지하지 못한 상황에서 하청업체가 저지른 잘못이라 해도 관리 감독 태만의 책임은 가볍지 않다”고 지적하며, “정부 당국은 문화재 사전조사를 각종 개발사업의 걸림돌로 치부하는 분위기를 청산할 방법을 강구하라”고 촉구했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