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디밴드 ‘줄리아 하트’의 맴버들. 리드보컬 정바비, 드럼 안태준, 리드기타 김경탁(왼쪽부터). 이날 베이스 이원열은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터뷰 자리에 나오지 못했다.
\
|
억지스럽지 않은 보컬
묵직한 가사의 기타팝 그런데 노랫말은 묵직하고 비범하다. ‘회전목마의 밤’은 영화 <니노치카>의 대사로 시작한다. “누구도 벌 받지 않고 행복할 순 없다. 나는 벌 받아야 하고 벌 받을 것이다.” 정바비는 “사는 것 자체가 건강에 안 좋다”면서도 “그렇다 해도 어쨌든 살아있는 건 확실하고 살기 싫다고 말하는 건 ‘구리다’”라고 중얼거렸다. 그러자 김경탁(27)은 “저는 달라요, 여러분의 성원으로 살고 있습니다”라며 경쾌하게 웃었다. 이들이 공통적으로 존경해 마지 않는 그룹은 비치보이스다. 종소리까지 싱그럽게 어우러진 타이틀곡 ‘영원의 단면’은 그 그룹을 향한 ‘신앙 간증’이란다. “하모니를 쌓으려면 공을 많이 들여야 해요. 그런데 비치보이스는 주요 멜로디 위로 4겹 아래로 5겹 이렇게 쌓아요. 코드 몇 개 띵가띵가 해도 잘 팔리는 노래를 만들 수 있는데 그만큼 열심인 건 그만큼 음악을 사랑하기 때문이죠.” 음악을 향한 고집은 이들도 만만치 않은 듯하다. 이번 앨범은 그들이 “1집 <가벼운 숨결>과 싱글 <미스초콜렛> 판 돈, 2집 팔아 벌 돈, 그리고 쌈짓돈”을 털어 스스로 만든 것이다. “기획부터 마스터링까지 직접 한 진짜 인디죠.” 그래야 다른 사람이 개입할 여지가 없고 진짜 좋은 음악을 하고 있는지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고 한다. “친해지면 일대일이 되는 거예요. 우리 음악을 듣는 사람들과의 관계가 그렇게 됐으면 좋겠어요.”
|
||||
그래도 첫번째 앨범 때보다는 ‘타협’한 편이다. 그땐 서울 신촌에 있는 향음악사에서만 음반을 팔았는데 입소문을 타더니 팬들한테 사고 싶어도 살 수 없다는 볼맨소리까지 듣게 됐다. ‘오르골’, ‘유성우’는 영화 <후아유>에 쓰이기도 했다. “다른 지역에도 우리 음악을 듣고 싶어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몰라 이번엔 배급만 기획사에 맞겼어요.” 12곡이 다 돌아갔더라도 잠시 기다리면 “우리는 젊고 멍청하다”는 그들의 고백을 들을 수 있다. 27번째 트랙에 숨은 ‘영 앤 스투피드’다. “우리는 철없는 X삐리들이에요. 성장하고 싶지 않아요. 또 세상에 맞게 바뀌는 게 성장이라고 생각하지도 않아요.” 글 김소민 기자 prettyso@hani.co.kr 사진 이정용 기자 lee312@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