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라마 <사랑과 전쟁 2>(한국방송2)는 100% 시청자 제보를 받아 만드는 한국사회 실제 부부들의 이야기다. 1화 ‘대리부 이야기’ 한국방송 제공
|
`사랑과 전쟁2’
소재 공모란 매주 50여건 접수
자녀교육 등 이혼 ‘트렌드’ 보여
제작진 “다문화가정 다루고파”
이혼 위기에 처한 실제 부부의 사연을 드라마로 보여주고, 전문가들이 해결 방안을 함께 모색하는 <사랑과 전쟁>(한국방송2)이 시즌2에서도 호응을 얻고 있다. 지난해 11월11일 시즌2(금 밤 11시)의 문을 열었는데, 포털사이트에 주부들이 만든 카페를 중심으로 매회 시청소감 등이 빠르게 올라오고 있다.
<사랑과 전쟁2>를 만드는 <한국방송> 예능국 박효규 책임피디(시피)는 “시즌1이 끝나자 <사랑과 전쟁>을 다시 보고 싶다는 시청자의 요구가 끊이지 않았다”고 말했다. <사랑과 전쟁> 시즌1은 1999년 10월 시작해 2009년 4월까지 9년여 동안 방영되며 시청률이 20%를 넘나들었다.
시즌2 시청률은 아직 시즌1에 못 미치지만 주부 카페에는 “<사랑과 전쟁2> 할 때는 전화도 안 받는다”(아이디 ‘맘스패밀리’)는 글이 올라올 정도로 반응이 뜨겁다. 스타가 나오는 것도 아닌 이 평범한 드라마에 시청자들은 왜 빠져드는 것일까?
세 쌍 중 한 쌍이 이혼한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로 우리 사회에서 이혼은 흔한 일이다. <사랑과 전쟁>은 실화를 드라마로 만들어 사실성을 높이고 공감대를 형성했다. 시즌1에서 시청자 사연과 함께 신문기사 등을 참조했던 것과 달리 시즌2에서는 100% 시청자 제보를 받는다. 한국방송 누리집 ‘소재 공모란’에는 매주 사연 50여건이 올라온다. 박 시피는 “주부 카페 등을 검색해 비슷한 사례가 많고,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는 사연 위주로 전문가의 법률 자문을 거쳐 1건을 선택한다”고 말했다.
시즌2에서 방영된 성매매에 중독된 남편 이야기 ‘색다른 남편’(8화)과 불임 남편을 대신해 돈을 주고 다른 남자의 정자를 구매해 아기를 갖는 ‘대리부 이야기’(1화)처럼 실제 이야기인데도 보통사람들이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 등장하니 조작 의혹을 받기도 한다.
|
8화 ‘색다른 남편’
|
|
8화 ‘색다른 남편’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