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수 조용필씨가 23일 오후 6시 평양 유경체육관에서 열린 콘서트에서 열창하고 있다. 에스비에스 제공
|
오빠 부대 없었지만 감동의 눈물이 흘렀다
‘오빠부대’는 없었지만 조용히 흐르는 뜨거운 눈물이 있었다. 가수 조용필(55)이 평양 시민과 함께 한 무대는 ‘남과 북은 한민족’이라는 당연한 사실을 다시 일깨워준 소중한 자리였다. 23일 오후 6시 평양 유경정주영체육관. 남녘 ‘국민 가수’ 조씨가 7천여명 평양 시민 앞에 섰다. 이만한 규모로 남쪽 가수의 단독 공연이 북녘에서 벌어진 건 처음이다. 우주에서 지구로 다시 한반도로 좁혀오는 영상을 배경으로 금빛 재킷을 걸친 조씨가 공중에서 내려왔다. 장중한 ‘태양의 눈’이란 곡이 무대를 채웠다. 이어 ‘단발머리’, ‘못찾겠다 꾀꼬리’로 흥을 돋웠다. “오기 전에 제 노래를 아실런지, 어떤 노래를 좋아하실런지 무척 고민했습니다. 음악은 남과 북이 같을 거라 생각하고 용기를 냈어요.” ‘친구여’, ‘허공’, ‘돌아와요 부산항에’ 등 그의 대표곡을 이어 가는데 이때까지만 해도 관객은 굳어있었다. 양복에 넥타이를 멘 남성이나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여성이나 곡이 끝나면 박수를 칠 뿐이었다. “제가 음악생활을 37년 했고 나이가 40살입니다” 조씨가 농담을 하자 작은 웃음이 새어나왔다. “박수 한번 주세요!”이제야 휘파람 환호가 간간히 들렸다. 긴장은 조금씩 허물어져가고 있었다.
|
23일 오후 6시 평양 유경체육관에서 조용필씨의 콘서트가 열렸다. 한복이나 양복 정장 차림의 평양 시민들은 공연 초반엔 굳은 듯 앉아 박수만 치더니 흥이 무르익자 휘파람으로 환호하기도 했다. 이 공연은 3시간 늦게 에스비에스에서 방송됐다. 에스비에스 제공
|
관객과의 거리가 극적으로 좁혀진 건 그가 북녘 노래 ‘자장가’와 ‘험난한 풍파’를 부를 때였다. 사람들은 리듬을 타기 사작했다. “북한 노래 100여곡을 들어보고 고른 곡이에요.” 옛 가요 ‘봉숭아’, ‘황성옛터’를 부를 땐 눈물을 훔치는 이들도 있었다. 마지막곡 ‘꿈의 아리랑’에서 환호는 더 커졌다. 이어 “앙코르~” 소리가 터져나왔고 관객은 일어나 긴 박수를 보냈다. “가다가 지치면 쉬어가 더라도, 손잡고 가보자 함께 가보자~.”(‘홀로아리랑’) 이날 공연은 3시간 늦게 에스비에스에서 방송됐다. 공연을 마친 조씨는 “첫 세곡을 부른 뒤 관객이 눈에 들어와 ‘이젠 됐다’ 싶었다”며 “감동적이었고 내가 생각한 감정선과 딱 맞아떨어졌다”고 기뻐했다. 그는 “공연이 진행되면서 그들의 시선을 보니 마지막까지 하나로 가는 것 같았다”며 “기립박수 받았을 때 느낌은 말로 표현할 수 없다”고 소감을 밝혔다. 김소민 기자 prettyso@hani.co.kr 평양/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