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80년대부터 한국 코미디는 ‘개그맨 전성시대’로 바뀌었고, 90년대 이후로는 개그맨들이 중심이 되는 예능 프로그램이 방송의 꽃으로 자리잡았다. 2006년 시작한 문화방송 <무한도전>은 특이하고 황당한 도전을 벌이는 게임 방식으로 인기를 끌며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들이 쏟아져 나오는 계기가 됐다. 문화방송 제공
|
한국 코미디 탄압과 천대의 70년(2)
코미디·예능은 이제 사람들의 일상에 들어와 있다. 성과 정치라는 금기의 영역도 무너지기 시작했다. 한국 코미디 70년은 하지만 탄압과 천대의 시절이 훨씬 많았다. 김희갑에서 김구라까지, 우리를 웃기고 울린 그 역사를 되돌아봤다. 짧은 호흡과 유행어의 힘, ‘개그’의 시대 시대의 조류는 80년대부터 조금씩 바뀌기 시작했다. 박정희의 뒤를 이은 전두환이라고 독재정권이 아니었던 것은 아니지만, 스리에스(3S) 정책과 장발 단속 폐지, 통금 해제 등의 유화책을 들고나온 5공에서는 코미디언들의 운신의 폭이 조금은 더 넓어졌다. <문화방송> <일요일 밤의 대행진>은 뉴스의 형식을 빌려 시사풍자를 시도했는데, 진행을 맡은 김병조는 일약 스타덤에 올랐다. 그가 비아냥과 풍자를 잔뜩 담아 던지는 일련의 멘트 “지구를 떠나거라” “먼저 인간이 되거라” “교양 있게 놀아라” 등은 여지없이 유행어가 되었고, 억눌려 있던 풍자 코미디의 가능성이 아주 조금씩 보이기 시작했다. <문화방송>에 김병조가 있었다면 <한국방송>에는 김형곤이 있었다. <유머 일번지>에서 김형곤이 선보인 ‘회장님 회장님 우리 회장님’이나 ‘탱자 가라사대’의 정치풍자는 그 수위와 적나라함이 훨씬 더했던 터라, 김형곤은 국가안전기획부의 감시 전화를 받아가며 연습을 해야 했다. 김병조의 “지구를 떠나거라”는 풍자 코미디의 가능성을 보였다김형곤의 ‘회장님’ 풍자는 수위가 훨씬 더했다 개인의 욕망을 담은 개그도 떴다
처음엔 호통을 치는 박명수였고 그 뒤는 독설의 아이콘 김구라였다 마침내 적나라한 정치와 성을 다룬 코미디가 우리 앞에 도착했다
더 솔직하고 자유로워지고 싶은 시대의 흐름을 막을 수는 없다 안타깝게도, 이런 변화에 기존 코미디언들은 쉽게 적응하지 못했다. 김병조, 김형곤, 전유성, 임하룡, 이홍렬 등 새롭게 등장한 신인들이 선보인 것은 그 형식부터 조금은 달랐다. 호흡이 길고 서사구조가 중요시되는 정통 코미디와는 달리, 신인들은 좀더 짧은 호흡의 농담과 유행어들을 전진 배치시켰다. 코미디 프로그램은 점차 기존의 스튜디오 코미디를 벗어나, 방청객들로부터 실시간으로 반응을 끌어내는 공개 코미디의 방향으로 변하고 있었다. 전유성은 자신과 같은 이런 부류를 ‘개그맨’이라 칭했고, 개그맨들은 무섭게 80년대를 집어삼켰다. 물론 이때도 정통 코미디가 설 자리가 사라졌던 건 아니었다. 그러나 80년대가 시작되기 무섭게 무대에선 이미 유명했던 코미디언 이주일이 티브이 코미디 시장에 진출해 ‘황제’의 칭호를 얻은 뒤였다. 한국 티브이 코미디의 1세대들이 설 자리는 점점 줄어들었다. 말하자면 아주 과격한 방식으로, 한국 코미디의 세대교체가 이루어진 셈이다. 아마 새로운 세상에 대한 대중의 열망이 터져 나가기 직전이던 80년대의 반영이었으리라. 오랜 독재를 지난 뒤 다시 들어선 정권이 또 군부 독재 정권이라는 아이러니는 젊은이들로 하여금 기존과는 다른 무언가를 열망하게 만들었으니 말이다. 그러나 봄은 그리 오래가지 않았다. 김형곤의 정치풍자 코미디는 정권 차원의 압력으로 인해 금방 폐지가 되거나 풍자의 수위를 대폭 낮춰야만 했다. 시청자들의 간지러운 곳을 긁어주던 김병조 또한 당시 여당이었던 민주정의당 전당대회에 불려가, 전달받은 원고를 그대로 읽었다가 방송 생활을 접어야 했다. 하필이면 6월 항쟁이 일어났던 87년 6월10일, 그가 읽어야 했던 원고는 다음과 같았다. “민정당은 국민에게 정을 주는 당이고, 통일민주당은 국민에게 고통을 주는 당이다.”
|
(※클릭하면 이미지가 커집니다.)
|
|
이승한/티브이 칼럼니스트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