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BC 제공
|
한국 사회는 왜 외국 남자 연예인에게 흥미를 보이나 주말 예능에 ‘별에서 온 남자들’이 맹활약 중이다. 한국인은 도저히 흉내내지 못할 4차원 캐릭터. 아예 한국인이 아니거나 한국인이라도 한국적 감수성이 거의 없는 인물들이다. MBC <일밤-진짜 사나이>(이하 <진짜 사나이>)의 헨리와 샘 해밍턴, 그리고 KBS <해피선데이-1박2일>(이하 <1박2일>)의 정준영이 있다. 주말을 ‘들었다 놨다’ 하는 남자들, 지금 한국은 왜 이들의 이국성에 흥미를 보이나. “조균 없습니까?” ‘파인애플 참사’ “267번 훈련병 헨리!”가 뜨자 지난 3월2일 <진짜 사나이>의 시청률이 15.5%로 오르며 <1박2일>과 SBS <런닝맨>을 제쳤다. 슈퍼주니어 M의 멤버로 중국계 캐나다인인 헨리는 군대에 대해서 몰라도 너무 모른다. 그래서 그의 별명은 ‘군대 무식자’. 가상이지만, 입대하면서 그가 끌고 온 여행가방엔 이런 물건이 들었다. 자외선 차단용 군대 선글라스, 쉬는 시간을 위한 랩톱 컴퓨터, 아침 스트레칭을 위한 요가 매트, 아이돌의 필수품 키높이 깔창…. 리얼리티 예능의 웃음을 위한 설정 같지만, 헨리가 하면 설득력이 생긴다. 슈퍼주니어 멤버들의 농담을 곧이곧대로 믿은 그는 군대에 대해 “맛있는 것도 많이 있다고 들었고 많이 자고 친구들도 되게 많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PX에서 총을 판다는 얘기를 듣고 현금을 준비해온 그는 “총은 많으면 좋죠… 오마이갓, 스나이퍼도 쓰고 싶어요” 같은 멘트를 날린다. 그를 면담한 장교는 “천진난만하게 (보이는) 5살에서 7살 정도의 초등학생 느낌”이라고 말한다. 헨리가 한국식 ‘군대 코드’를 전혀 몰랐으니 틀린 말이 아니다. “조균 없습니까? 아주 좋습니다.” 번역하면 “조교 없습니까?” 군대의 매니저라고 들었지만, 막상 들어와서 보니 행동을 감독하는 “빨간 모자” 사람이 없으니 좋다는 말이다. 인구에 회자되는 ‘파인애플 참사’도 있었다. 같은 내무반 선임의 외모를 보고 “파인애플 닮았다”고 해서 생긴 말이다. 한국 물정 모르는 청년, 군대에서 훈련을 받다가 기분이 좋아지자 급기야 교관의 볼에 뽀뽀를 하기도 했다. 그러나 기분파 헨리는 마냥 웃지도 않는다. 내무반에서 선임이 “군생활의 팁은 웃는 것”이라고 하지만, 마음이 내키지 않으니 “웃음이 안 나옵니다”라고 직언을 날린다. 진정한 진심 폭로자. 천진난만한 캐나다 청년의 사전엔 ‘적당히 맞춘다’가 없다. 대충 눈치로 군기 든 척하지도 않는다. 그런데, 귀엽다. 왜냐고? 그에겐 방송의 필수 요소 ‘3B’가 있다. 한국 정서를 모르니 여기서 그의 정신은 아기(Baby), 군살 없는 탄탄한 몸은 야수(Beast), 스물여섯 나이가 무색하게 해맑은 얼굴은 미남(Beauty)이다. 여기에 성별 코드도 마구잡이 청년이다. 남자들한테도 분위기 전환용으로 “사랑합니다” 해서 선임에게 “남자들끼리는 (그런 말) 안 하는 게 좋겠다”는 타박도 듣는다. 자기 검열이 없으니 타인의 시선을 내면화하는 문화에서 자란 한국인이 차마 하지 못하는 말들을 쏟아놓는다. 라펠을 묶고 암벽을 타는 훈련을 마치고 바들바들 떨면서 “저… 이거 왜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하는 진심 폭로자가 된다. 영하의 날씨에 탈의를 하고 얼음강에 들어가는 훈련에 대해선 “저 인생에서 가장 놀랐던 순간이에요”라고 진지하게 되뇐다. 여기서 그치면 좋지만 먼저 들어간 선임들을 “미친 줄 알았어요, 그 사람이”라고 덧붙이는 순진하다 못해 무구한 구석도 있다. 즐거운 불안, 묘한 안심 자, 사설이 길었다. 이제 헨리를 보는 우리를 보자. 이런 헨리의 행동이 왜 재미가 있을까. 한국 남성문화가 그만큼 강하기 때문이다. 얼굴은 물론 키까지 비슷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나라. 외모만큼 문화 코드도 단일하다. 이렇게 단일성이 강하니 한국 코드를 모르는 외국인의 ‘외계성’이 강해진다. 코드를 아는 한국 사람은 도저히 흉내내지 못할 4차원. 만약 한국 사람이 그랬다면, 알면서 모른 척한다는 혐의를 받았을 것이다. 김선영 TV평론가는 “아무리 엉뚱한 한국인 캐릭터도 집단 속에서 그렇게 행동하면 예의 없다고 하지만, 타 문화라 그렇다고 하면 용서가 된다”고 분석했다. 물론 “보호 본능을 자극하는 귀여운 외모도 한몫하지만”이라고 덧붙였다. 샘 해밍턴이 가진 외국인 캐릭터에 박형식이 가졌던 아기병사 이미지가 더해지니, 헨리는 두 배로 재미있다. 원래 위반은 흉내보다 힘이 세지 않은가. 더구나 금기를 몰라서 하는 위반은 자연스럽기도 하다. “반응이 즉각적이죠. 1초의 머뭇거림도 없죠. 좋으면 ‘하~’ 웃고, 싫으면 ‘앙~’ 울고. 마치 강아지 같지요. 즉물적인 매력덩어리죠.” 헨리가 아니라 추사랑에 대한 황진미 영화평론가의 묘사다. KBS <해피선데이-슈퍼맨이 돌아왔다>에 나와 인기를 끌고 있는 추성훈의 딸 사랑이처럼, 헨리는 ‘즉물적 매력덩어리’다. 황진미씨는 사랑이를 두고 “훼손되지 않은 자연을 보는 느낌”이라고 했는데, 이것은 헨리에게 대입해도 괜찮다. 묘하게, 추사랑도 아버지는 재일동포지만 일본말을 모국어로 하는 아이다. 덧붙이면, 헨리와 사랑이는 “한국식 개발이 훼손하지 않은 존재들”인 것이다. 사실 우리는 몸에 익은 서열문화가 지겹다. 몸은 수직적 서열에 익숙하지만, 무의식은 누군가 그것을 깨주기 바란다. 안전하게 나 아니고 다른 이가 위반하면 통쾌하다. ‘어디로 튈지 모르는’ 헨리는 그런 욕망을 대신하는 존재다. 이명석 대중문화비평가는 “그를 보는 시선에는 불안과 안심의 양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엔 그가 어떤 행동으로 주변에 당혹감을 안길까 하는 즐거운 불안, 결국 군대문화에 적응할 거라는 묘한 안도감이 공존한다는 것이다. 지금은 순치되지 않는 외국인이 결국엔 순치될 것을 알기에, ‘우리가 틀리지 않았다’는 안도감이 최후에 남는다.
|
방송에서 외국인이거나 외국인 같거나 한 인물들의 행동은 타 문화의 순수함으로 받아들여진다. 샘 해밍턴, 정준영, 추사랑, 헨리(왼쪽부터 시계방향)이들이 그렇다.jtbc, KBS, MBC 제공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