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9.15 09:49 수정 : 2005.09.15 09:49

시청자 10명중 7명은 TV 간접광고(PPL)를 허용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최근 탤런트 김정은이 자신이 출연한 드라마의 과도한 간접광고 등을 문제삼으며 출연 거부 의사를 밝혀 파문이 인 가운데 나온 결과에서 눈길을 끈다.

국회 문화관광위 소속 한나라당 이재웅 의원은 15일 한국사회여론연구소에 의뢰, 전국의 만 20세 이상 성인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간접광고 대처 방향을 묻는 질문에 `부작용에 대한 최소한의 기준 마련 후 부분적으로 허용해야 한다'는 응답이 61%, `전면허용 해야 한다'가 9.7%로 나타나 응답자의 약 70% 이상은 간접광고 허용에 찬성 입장을 보였다.

특히 20~30대, 학생 등 젊은 층과 고학력.고소득의 중산층을 중심으로 허용 여론이 많았다.

`지금보다 강력히 규제해야 한다'는 19.1%, `현재 규제로 충분하다'는 7.3%였다.

간접광고 허용 이유로는 `제작비 지원을 통해 프로그램의 질을 높일 수 있다'가 37%로 가장 많았고 `기업의 효과적인 홍보 활동 가능' `프로그램의 현실성 기여' `이미 간접광고 성행' 등의 응답이 각각 뒤를 이었다.

간접광고 반대 이유로는 `방송은 공공자산이므로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해서는 안된다'(51%)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평소 TV속 간접광고가 얼마나 된다고 생각하는 지를 묻는 질문에는 73.1%가 `많다'고 응답했고, 간접광고가 가장 많은 장르로는 58%가 `드라마'를 꼽았다.

그러나 응답자의 74%는 `간접광고를 보면서 상품구매 욕구를 느끼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조재영 기자 fusionjc@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