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9일 서울 63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팬미팅에서 팬들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고 있는 <닥터후 시즌8>의 주인공 제나 콜먼(왼쪽)과 피터 카팔디.
|
영국 드라마 ‘닥터후’ 장수 비결
영국 에스에프(SF) 드라마 <닥터후>는 쉽게 빠져들기 힘든 점이 많다. 타임로드라는 외계종족의 유일한 생존자인 ‘닥터’가 전화박스 모양의 타임머신 ‘타디스’를 타고 시공을 넘나들며 우주를 구한다는 모험담을 뼈대로 한다. 가족애 등 미국식 에스에프 드라마의 ‘공식’을 따르지 않았고, 온갖 우주 행성을 오가는 탓에 지구 종말의 날을 지켜보는 등 시즌이 거듭될수록 이야기가 확장돼 시즌1부터 보지 않으면 이해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그럼에도 1963년 시작해 전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영국의 국민드라마가 됐다. 1963~1996년 이른바 ‘올드 시즌’으로 불리는 26시즌이 방영된 뒤 중단됐다가 2005년 ‘뉴 시즌’으로 부활했다. 기간으로만 따지면 51년째. 장수드라마로 2006년 기네스북에도 올랐다. 처음엔 닥터가 원소기호 등을 설명하는 어린이 공상 드라마였다는데, 어떻게 전세계인을 사로잡았을까. 한국에도 충성도 높은 시청자층이 있다. <닥터후 시즌8> 홍보차 9일 방한한 주인공 피터 카팔디와 제나 콜먼은 “마치 비틀스가 된 것 같았다. 공항에서 팬들이 너무 환대해줘 놀랐다”며 기뻐했다. 1963년부터 ‘외계인 닥터’ 12번 교체2006년 장수드라마 기네스북 올라 닥터 다시 태어나며 배우 바뀌어
시청자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
시즌8 앞두고 주인공 방한
카팔디 “팬들 환대에 비틀스 된듯” ■ 배우가 아닌 ‘닥터’를 사랑해 카팔디가 출연하는 시즌8은 영국 <비비시>(BBC)에서 23일 첫 방송하고, 한국에서는 위성채널 <비비시 엔터테인먼트>에서 24일 저녁 8시30분에 시작한다. <닥터후>의 이전 시즌을 방영해왔던 <한국방송> 쪽은 “9월 이후 편성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런데도 카팔디의 인기는 뜨겁다. 9일 밤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팬미팅에는 카팔디의 얼굴 사진으로 만든 부채가 등장했고, “아이 러브 피터”라는 외침이 곳곳에서 흘러나왔다. 카팔디조차도 방영 전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는 것에 “감동했다”고 한다. <닥터후>가 51년간 이어올 수 있었던 데는 배우가 아닌 ‘닥터’라는 캐릭터 자체를 사랑받게 만든 힘이 크다. 보통 시즌제 드라마는 주인공이 바뀌면 폐지하거나, 드라마 속 인물을 모두 바꿔 전혀 다른 이야기로 끌어간다. 그러나 <닥터후>는 이른바 ‘재생성’이라는 기발한 아이디어로 자연스럽게 주인공을 교체하며 지금껏 12명의 닥터를 배출했다. ‘닥터’가 죽을 때가 되면 지식과 기억을 제외한 모든 외형적인 특성이 바뀌고 새로운 인물이 태어나는 식이다. 카팔디는 <닥터후>가 반세기를 이어온 힘으로 “드라마 시리즈가 <닥터후>처럼 계속 주연배우를 바꿀 수 있다면 오래 방송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1대 닥터가 촬영 도중 건강 이상으로 하차하면서 제작진이 낸 아이디어였다고 한다. 닥터의 교체는 진통을 겪기도 하지만 그러면서 오히려 팬덤 현상을 낳았다. 닥터가 바뀔 때마다 누가 새 닥터가 되느냐는 영국뿐 아니라 전 세계 팬들의 큰 관심사가 됐다. 비비시는 지난해 일요일 저녁 프라임 타임에 시즌8의 새로운 닥터를 발표하는 쇼를 편성했다. 발표 이후 한국의 포털에서도 ‘피터 카팔디’가 검색어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카팔디는 “닥터는 영국 드라마에서 최고의 인물이자 하나의 아이콘이다. 배우로서 닥터가 되는 것은 기분 좋은 일이다. 다음 사람에게 넘겨질 때까지 최대한 강하고 좋게 유지되도록 관리하는 것이 내 역할”이라고 했다.
|
전화박스 모양의 타임머신 ‘타디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