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우들이 21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의 한 스튜디오에서 케이블 채널 ‘투니버스’의 대표 에니메이션영화 ‘명탐정 코난’을 더빙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선혜, 강수진, 한신씨.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
여전히 매력적인 성우의 세계
눈을 뜨고 보면 분명 ‘낯선 사람’인데, 감으면 ‘아는 사람’이 된다. “어머, 코난” 반가움에 무심코 인사를 할 뻔했다. 21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 위치한 케이블 채널 <투니버스>의 더빙실에선 <명탐정 코난 미방영 엑스파일 시즌3>(2월17일 방영)의 목소리 입히기가 한창이었다. 코난 김선혜부터 남도일의 강수진 등 익숙한 목소리의 성우 5명이 표정부터 손짓까지 섞어가며 ‘목소리 연기’에 몰입했다. 김선혜씨는 “더빙은 흉내를 내는 게 아니라 새로운 캐릭터를 창조해내는 작업”이라고 했다. 지상파 3사 더빙 외화 2개뿐 1960~1990년대 초는 성우들의 전성시대였다. 라디오 드라마, 영화 더빙, 내레이션 등 다양한 분야를 넘나들며 활약했다. 십수년이 지났지만, 지금도 미국 드라마 <브이>의 다이아나의 목소리를 기억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이젠 목소리만 듣고 작품 속 인물을 떠올리는 일은 점차 줄고 있다. 지상파 3사(문화방송, 한국방송1·2, 에스비에스)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던 외화프로그램 <명화극장>(한국방송1)이 지난해 12월 ‘’폐지되면서 더빙으로 영화를 보는 프로그램이 지상파에서 자취를 감췄다. 외화 드라마도 영국드라마 <닥터후 시즌8>(한국방송1)과 중국드라마 <여상육정>(문화방송) 뿐이다. 1988년 데뷔한 강수진씨는 “지상파에서 더빙을 하는 영화와 드라마가 1990년에 견줘 10분의 1도 안 된다. 당시 20개 정도였던 라디오 드라마도 7~8개로 줄었다”고 했다. 교양과 다큐, 예능 분야에서 더빙이나 내레이션을 활용하는 프로그램이 늘어나고 있지만, 그 자리는 연예인의 몫으로 넘어가는 추세다. <한겨레>가 세어 보니, 지상파 3사에서 더빙이나 내레이션이 나오는 약 75개 프로그램 가운데 성우가 참여하는 건 절반 정도였다. 이근욱 한국성우협회 이사장은 “한때는 성우가 95%를 했는데 2007년 다큐 <차마고도>에서 최불암씨의 내레이션이 화제를 모은 이후 연예인들의 참여가 늘었다“고 했다. 제작비 부담에 자막방송 일반화 다큐 내레이션도 연예인 선호해 애니 등 어린이 프로 많이 출연 외화 주인공 맡으면 100만원 남짓 연예인 몸값 10분의 1도 안되지만 “흉내 아닌 캐릭터 창조” 자부심 작년 KBS 공채 경쟁률도 225대1 성우들의 위기는 1997년 아이엠에프 구제금융 위기 때 시작됐다. 강수진씨는 “당시까지 외화의 80%를 더빙했는데 아이엠에프가 오면서 제작비 부담을 줄이려고 자막 방송이 시작됐고, 2004년께 케이블이 자리를 잡기 시작하면서 자막 방송이 일반‘’화됐다”고 했다. 실제로 <문화방송>은 2004년을 마지막으로 공채 성우를 선발하지 않았다. 지상파에서 4개나 있던 외화 프로그램도 2007년 <토요명화>(한국방송)를 시작으로, 2010년 <주말의 명화>(문화방송), 2011년 <영화특급>(에스비에스)이 차례로 폐지됐다. 방송사들은 케이블 채널에서 미리 보여주는 영화를 지상파에서까지 내보낼 필요가 있느냐는 고민이 있었다고 한다. 캐릭터의 새로운 창조 성우들의 주무대는 케이블 애니메이션, 스마트폰 게임 등으로 옮아갔다. 김선혜씨는 “영화 더빙과 다큐 내레이션은 ‘내가 인정받는구나’라고 느끼게 하는 상징적인 의미”라고 했다. 실제로 병아리 시절엔 엄두도 못 냈다. 강수진씨도 데뷔 6년 만에 지상파 영화의 단역을 맡았다.“88년 <한국방송> 공채로 데뷔한 후 전속기간 5년(현재는 2년) 동안에는 외화 더빙을 시키지 않았다”고 했다. 그만큼 성우의 연기는 치열한 준비의 결과이기도 하다. 그 배역을 넘어 배우까지 연구해야 한다. 강수진씨는 “영화 <길버트 그레이프> 때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를 연기하려고 비디오테이프를 반복해 보며 1주일 동안 연구했다. 특유의 감탄사 등 언어 습관까지 공부해 반영해야 한다”고 했다.
|
더빙은 보통 1주일 전부터 준비한다. 단순히 목소리를 입히는 것이 아니라 실제 배우처럼 캐릭터 분석 등으로 새로운 인물을 창조해낸다.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
맥가이버 하면 배한성, 샤론 스톤 하면 강희선…“전담 배우 갖는 게 꿈”
|
<맥가이버>의 주인공 맥가이버는 성우 배한성 씨가 담당한다.
|
|
유명 영화배우 샤론 스톤을 담당하는 성우는 강희선 씨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