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저널 그날‘(한국방송1). 사진 방송 갈무리
|
고증은 기본 예능적 재미는 덤
역사토크쇼에서 웹툰드라마까지
짚신 신고 62㎞ 유배길 떠나보기도
“정통 다큐 부담느끼는 시대 탓”
역사 안에 예능 있고, 예능 안에 역사 있다. ‘역사예능’ 프로그램이 더이상 낯설지 않다. <역사저널 그날>(한국방송1)과 <툰드라쇼 조선왕조실톡>(엠비시에브리원), <시간탐험대>(티브이엔)이다. 고증은 기본, 예능적 재미도 덤으로 따라온다. 윤석진 충남대 교수(국문과)는 ‘역사예능’을 “팩트 그 자체보다 가능성으로서의 역사에 주목하는 프로그램”이라고 정의한다. 이들을 웃음의 강도로 나눠 살펴봤다.
웃음 강도 3 ‘역사저널 그날’ 예능보다 교양에 가깝다. 김종석 책임 피디도 “역사스페셜의 연장선상”이라고 말한다. 2013년 10월26일 시작한 ‘역사 토크쇼’로 120회까지 전파를 탔다. 1화 ‘정조’ 편으로 시작해, 조선·고려·삼국시대까지 두루 다뤘다. 하지만 위안부 문제 등 현안이 불거질 때는 시의성을 고려해 주제로 잡기도 한다. 첫 방송을 하기까지 내부적인 고민이 많았다. 김 피디는 “담론·공급자 중심의 역사 다큐멘터리에 젊은 시청자들이 거부감을 느낀다고 생각했다. 제작의 근본적 인식 전환을 위해 당시 팟캐스트에서 호응 얻던 역사 강연·토크를 벤치마킹했다”고 설명했다. 결과는? 한때 시청률 10%에 육박하며 특히 젊은 시청자들을 역사 프로그램으로 이끄는 데 성공했다는 평을 받는다.
이 토크쇼의 재미는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대화’에서 나온다. 일반인을 대변하는 개그맨 이윤석과 류근 시인 등은 비교적 자유로운 ‘합리적 추론’을 통해 역사 해석의 1㎝ 틈을 열어둔다. ‘그럴 수도 있었던 일’이 시청자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알파고 대국’ ‘연예가중계’ 패러디 등 깨알 재미도 물론 있다.
감동적인 순간도 많았다. 지난 3월20일 방송된 ‘덕혜옹주’ 편에서 패널인 최태성 교사는 “왕녀조차 격랑 속에 비극적 삶을 살았다. 나머지 수많은 여성들은 시대 속에서 얼마나 많은 희생을 당했을까”라며 안타까워했다. 작년 8월9일 ‘동학농민운동’ 편에서는 진행자 최원정 아나운서가 “후손으로 미안하다”며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
‘툰드라쇼 조선왕조실톡‘(엠비시에브리원). 사진 방송 갈무리
|
|
‘시간탐험대‘(티브이엔). 사진 방송 갈무리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