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7일 서울 세종로 미디액트 대강의실에서 열린 ‘멀티플렉스 환경에서 영화상영의 다양성 찾기’ 토론회에서 김훈순 문화사회연구소 이사장이 사회를 보고 있다.
사진 컬쳐뉴스 제공
|
한 작품 스크린 점유율 제한한다 해도 실효 없어
상업관 규제보다 비주류·저예산 인프라 구축 필요
지자체와 ‘예술영화 전용관·이동상영관’ 협력해야
문화산업 혁신 연속토론회/ 1. 멀티플렉스 환경에서 영화상영의 다양성 찾기
문화연대 산하 (사)문화사회연구소와 한겨레신문사가 공동주최하는 ‘문화산업 혁신 연속토론회’ 1회 행사인 ‘멀티플렉스 환경에서 영화상영의 다양성 찾기’가 27일 서울 세종로 미디액트 대강의실에서 열렸다. 영화, 게임, 대중음악 세 분야에서 현안을 재점검하고 대안을 모색한다는 취지에서 마련된 이 토론회의 2회 행사 ‘게임산업의 투명성 확보를 위한 게임등급위원회 합리적 운영방안’는 10월11일 오후 3시, 3회 ‘위기의 음악산업, 대안은 없는가’는 10월25일 오후 3시 배재학술연구지원센터에서 열린다.
|
씨지브이, 메가박스 등 멀티플렉스 영화관들의 스크린 독점현상이 문제가 되고 있다. <한겨레> 자료 사진
|
유창서 국장은 “흥행 1위 영화의 스크린 수를 제한해봤자, 그로 인해 생긴 상영공간을 2~4위의 영화들이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동연 소장은 “천만 관객을 동원할 수 있는 영화의 독점적 환경을 제한하는 것이 곧바로 다양성을 현실화하는 대안으로 직결되지 않는다”면서 “다양성 문제를 산업 영역에 한정하지 말고 문화 환경 전체의 문제로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성욱 프로그래머는 “예술영화 시장이 점점 줄어드는 상황에서 멀티플렉스를 규제한다고 다양성이 늘어난다고 보지 않는다”면서 “규제는 필요하지만 정작 중요한 건 다양한 상영공간을 확보하려는 노력”이라고 말했다. 두 작품 교차상영은 그만둬야 ◇ 다양성을 보장하기 위한 대안은? 멀티플렉스에 대한 규제를 둘지 말지, 둔다면 어느 정도 둘지에 대해 참석자들은 조금씩 다른 의견을 보였다. 이동연 소장은 “멀티플렉스에 비주류 영화, 저예산 영화의 의무상영비율을 두는 것도 다양성을 살릴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한 반면 최백순 상무는 “정부에서 지원하는 예술영화전용관도 수익이 안 맞아 폐관한 사례가 많은데, 이윤을 추구할 수밖에 없는 멀티플렉스 안에서 문화다양성을 찾는다는 건 해답이 안 된다”고 말했다. 극장이 한 스크린에 두 영화를 번갈아가며 상영하는 교차상영 등 변형 상영은 시급히 시정돼야 할 문제로 지적됐다. 유창서 국장은 “변형상영은 관객에게 영화를 포기하거나 다른 선택을 강요하는 결과를 낳는다”고 말했으며 최백순 상무도 “교차상영 문제는 멀티플렉스가 잘못한 것”이라고 말했다. 영진위 단독 추진은 역부족 한번 상영한 영화를 재개봉할 수 있는 공간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김성욱 프로그래머는 “영화는 처음 개봉됐을 때보다 2~3년 뒤에 그 가치가 제대로 알려진다”면서 “그런데 지금은 재개봉되는 공간이 없어서 영화가 제대로 그 가치를 발현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양한 상영공간이 서울 뿐아니라 지역적으로도 확보돼야 한다는 데엔 참석자들의 의견이 일치했다. 김화범 팀장은 “지자체와 연계해 각 지역에 상영관 마련과 함께 라이브러리 설치, 운영 인력 확보 및 교육 등등 제반 인프라 구축을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계획 속에서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혜준 국장은 “현재 영화진흥위원회가 검토중인 안은 5분의 3 정도를 예술영화를 트는 전용관 21곳에, 지역의 특성을 살려 많으면 37곳에서 50곳까지 전용관의 망을 만들고, 여기에 찾아가는 영화관, 미디어센터 등을 포함해 70곳 정도의 영화관으로 로드맵을 짜보자는 것”이라며 “이건 영진위가 단독으로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며, 지자체를 설득하는 문제까지 포함하면 긴 호흡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임범 기자 isman@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