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유철 감독
|
첫 축구다큐 영화 ‘비상’ 임유철 감독
축구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비상〉을 만드는 과정은 그 자체로 또 다른 다큐멘터리를 만들 만하다. 〈비상〉이 스크린 데뷔작인 임유철(34·사진) 감독은 속이 꽤 썩었다. 영화 개봉을 목표로 삼은 다큐멘터리가 거의 없다 보니 투자를 받을 수가 없었고, 주머니 사정이 “신용불량자 수준이 됐다”고 한다. 임 감독은 독립영화제작집단인 푸른영상 등에서 다큐멘터리를 만들다 월간지와 인터넷신문 기자를 거쳐 문화방송에서 피디로 일했다. -축구 팬이라서 기획하게 된 건가? =야구 팬이다(웃음). 인간을 상품으로 다루는 상황을 가장 잘 보여주는 배경이 프로 구단이다. 아이엠에프가 한국 사회에 남긴 큰 폐해는 사람을 생산성을 기준으로 “얼마짜리”로 바라보게 만들었다는 점이다. 이런 상처를 치유하는 표본을 찾고 싶었다. 상대적으로 몸값이 낮은 인천 유나이티드 선수들이 함께 시련을 극복하는 과정이 재미있었다. 선수 대부분을 담아 주인공이 없는 다큐멘터리를 만들려고 했다. -텔레비전용으로 만들면 더 많이 봤을 텐데 투자 받기 힘든 영화로 만든 까닭은? =좀더 관객들이 집중해서 봐주길 바랐다. 에이치디(고화질) 디지털카메라로 〈비상〉을 찍으면서 소리가 앞뒤 양옆으로 들리는 5.1사운드를 이용해 관객이 마치 운동장 한복판에 있는 듯한 느낌을 주려 했다. 다큐멘터리의 힘이 배가 될 듯했고 극장에서 구현하고 싶었다. 극장에 걸리는 작품들도 장르가 다양해져야 한다. -카메라 8대로 찍은 테이프만 600개라고? =촬영에 1년반, 후반 작업에 1년이 걸렸다. 카메라 8대로 한 경기 촬영하는 데 1천여만원이 든다. 그것도 클로즈업 잘 되고 안정적인 카메라는 값이 억대라서 못쓰고 700만원짜리를 빌렸다. 편집 때도 하드디스크를 5번 날렸다. 하드디스크 장비를 빌렸는데 돈을 못 주니까 장비 업체가 회수해 가버렸다. 그 안에 데이터도 다 지우겠다고 했을 땐 정말 무릎을 꿇고 빌었다. 살려달라고. 다큐를 좀 보여줬더니 기다려주겠다고 했다. 이런 과정 때문에 올해 월드컵 때 개봉하려던 게 늦어졌다. -밀착 취재가 돋보인다.=장외룡 감독은 협조적이었는데 미디어에 노출된 경험이 별로 없는 선수들은 달랐다. 이 다큐멘터리로 팬이 생기면 당신들이 슬럼프를 이기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달랬다. 1년여 동안 계속 쫓아다니니까 나중엔 형동생 하는 사이가 됐다. -친해지면 선수들이 힘들 때 제작진도 지치겠다. =김이섭 골키퍼가 챔피언 결정전 1차전에서 5골을 내주는 바람에 마지막 경기에서 골키퍼 자리에 서지 못했다. 일년에 한두번밖에 오지 않는 기회를 잡으려고 선수들이 얼마나 고된 훈련을 하는지 아니까 마음이 아팠다. 김 선수는 한번도 성질을 부린 적이 없는데 이때는 화를 내더라. 편집하다 보니 이 부분이 들어가 김 선수가 나쁜 인상으로 남을까봐 걱정된다. 임중용 선수가 피로 때문에 앞이 안 보이니까 몸으로 부딪치며 수비하는 걸 보고 제작진도 울었다. 김소민 기자, 사진 이모션픽처스 제공
꼴찌의 꿈은 이루어진다
|
준우승 거두기까지 가슴 뭉클한 땀과 눈물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