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박찬욱 감독
|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박찬욱 감독 박찬욱(43) 감독의 <싸이보그지만 괜찮아>가 재밌건 재미없건 독특하다는 덴 동의할 수밖에 없을 듯하다. 줄거리가 아니라 이미지가 고갱이다. 새롭긴 한데 이 ‘사이코 연인’은 영 친절하지 않다. 흥행이 부담스럽지 않을까? “(안될 거라) 예단하는 거 아니에요?(웃음) 환상과 현실을 자주 오가니까 낯선 감이 있겠죠. 이 장면이 무슨 의미일까 따지지 않고 흘러가는 대로 보면 되요. 오히려 아이들은 이해하기 쉬울 거예요.” 정지훈, 임수정, 박찬욱 감독의 이름값인지 모르지만 이 영화는 지난 6일 인터파크, 티켓링크 등에서 예매 순위 1위를 차지했다. 복수에서 사랑으로 적응 애먹어 논리를 따지는 게 허황될 수도 있겠다. 정신병원이 배경 아닌가. “보통 정신병 환자들에 대한 이야기는 의료진이나 가족의 시각으로 그려지잖아요. 그런데 이상한 게 당연한 세계에선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환자들끼리만 있다면 서로 친해지기도 하고 사랑도 하지 않겠어요? 맥락이 이어지지 않는 말들이 오고가는 집단치료 장면이 (제가 이 영화를 구상하며 가진) 최초 이미지에요.” 그 최초의 이미지는 사랑 이야기로 뻗어 나간다. 그가 이제까지 건드리지 않았던 주제다. “익숙하지 않아 힘들었죠. 장면이 관습적이거나 위선적이지 않을까…. 서로 동정하고 공감하려고 안간힘을 쓰는 것이 소중하다는 이야기에요. 영군이 울먹이면서 웅얼거리니까 일순이 그걸 알아 들으려고 애쓰잖아요.”정지훈은 신선, 그를 위한 작품 정지훈(비)이 토끼머리를 하건 임수정이 눈썹을 허옇게 칠하건, 그들이 어떤 사랑 이야기를 하건, 그들이니까 귀기울여지기도 한다. “정지훈씨가 영화상 시상식에서 노래하는 걸 봤는데 아름답고 도도한 여배우들이 입을 벌리고 어쩔 줄 몰라 하더라고요.(웃음) 대단하구나 그랬죠. 술을 마셔보니까 건전한 총각이란 느낌이 들었어요. 다듬어지지 않은 신선함이 필요했고 제일 먼저 떠올린 사람이었죠. 시나리오가 구체화되기 전에 같이 작업하기로 했고 이 친구를 염두에 두고 시나리오를 만들었어요. 촬영 현장에선 젊은 여성 스태프들도 정지훈씨를 동네 총각 대하듯 했어요. 그렇게 소탈해요. 임수정씨는 이제까지 그늘 지고 상처 입은 역할을 많이 했는데 새로운 느낌을 줄 수도 있을 것 같았어요.”
|
박찬욱 감독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