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자루유리공.부여 하황리 출토. 둥근 유 장식이 특히 아름답다. 리공 위에 얇은 은판으로 된 네 잎사귀 장식을 붙였다. 은은한 유리의 색깔과 정밀한 잎사귀. 국립부여박물관 제공
|
국립부여박물관 특별전 “백제의 공방” 개최
국립부여박물관(관장 이내옥)은 오는 10월 24일부터 “백제의 공방” 특별전을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 현대인의 입장에서 볼 때 공방은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과 비슷하다. 따라서 백제의 공방은 백제금동대향로와 같은 찬란한 백제의 문화유산이 탄생한 산업 현장이라 할 수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백제의 옛 영토였던 서울․경기․전라 지역을 비롯해서 충청도 지역에서 확인된 여러 가지 생산시설과 그곳에서 출토된 최신의 유물을 직접 만나는 기회가 될 것이다.
|
사람 얼굴 무늬 토기.부여 관북리 출토. 백제 사비시기에 사용된 토기 파편으로 바닥에 사람 얼굴이 그려져 있다. 혹시 토기를 굽던 백제 공인의 얼굴은 아닐까. 국립부여박물관 제공
|
이번 전시회는 제1부 금속공예품 공방, 제2부 토기 공방, 제3부 기와 공방 등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
‘관’새김 도가니. 부여 관북리 출토.백제 사비시기의 왕궁터로 추정되는 관북리 유적에서 출토되었다. 도가니의 뚜껑과 몸통에 ‘관(官)’이라는 동그란 도장이 찍혀 있다. 국립부여박물관 제공
|
|
연꽃무늬수막새. 부여 정암리 가마터 출토. 활짝 핀 연꽃을 형상화한 것으로 연꽃잎의 끝이 삼각형이다. 이곳에서 생산된 수막새와 똑같은 기와들이 부여 군수리 절터 등 기와 건물터에서 자주 확인된다. 국립부여박물관 제공
|
제3부 <기와 공방>에서는 부여 정동리․정암리 가마터를 비롯해서 청양 왕진리․관현리 등 사비시기 백제의 기와 가마터에서 출토된 수막새들을 처음으로 한 자리에 모았다. 특히 청양 왕진리 가마터에서 출토된 연꽃무늬수막새를 비롯한 여러 가지 도장기와들은 처음으로 일반인을 맞는다. 기와 가마터에서 생산된 것과 똑같은 형태와 제작기법을 한 수막새들이 부여 지역의 각종 기와 건물터에서 어떻게 출토되었는지를 꼼꼼히 확인하는 과정에서 “기와의 생산과 유통”이라는 보다 더 차원 높은 백제 문화의 이해로 나아가는 묘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
그릇받침. 국립부여박물관 제공
|
|
단야구. 국립부여박물관 제공
|
기사공유하기